노래 오라쇼: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그로리요사 (Gloriosa)
잔글 (→라틴어 성가) |
잔글 (→그로리요사 (Gloriosa)) |
||
36번째 줄: | 36번째 줄: | ||
○ 그루리아 파펨묘, 이츠 인묘 에 스베리토에 상토:, 시쿠 에라 엠 뽀로센페 묘에 노키, 셈페'리 세콜로 세콜로로 아(멘).</poem>}} | ○ 그루리아 파펨묘, 이츠 인묘 에 스베리토에 상토:, 시쿠 에라 엠 뽀로센페 묘에 노키, 셈페'리 세콜로 세콜로로 아(멘).</poem>}} | ||
=== 그로리요사 (Gloriosa) === | === 그로리요사 (O Gloriosa Domina) === | ||
이키츠키관의 오라쇼는 G 3/4로 일정하다. Cm(?) 3/4로 부르는 곳도 있다고 한다. | 이키츠키관의 오라쇼는 G 3/4로 일정하다. Cm(?) 3/4로 부르는 곳도 있다고 한다. | ||
일본 학자에 따르면 이 | 일본 학자에 따르면 이 곡의 출처를 1980년대 찾아 찾아 헤매다가 겨우 16세기 스페인 성가곡에서 이를 찾았다고 해서 '포르투갈, 스페인에서만 국지적으로 부른 곡'이라는 통설이 있는데, 실제로는 [http://soundcloud.com/cantumbarbum/william-byrd-o-gloriosa-domina 영국 르네상스 작곡가인 윌리암 버드가 작곡을 하는 등] 스페인 지방 바깥에서도 알려져 있었던 곡인 듯 하다. 어쨌든 이 곡의 원 라틴어 성가를 기반으로 일본인이 작곡한 곡인 '그로리요사'로 유명한 곡이기도 한데, | ||
{{인용문|<poem>O gloriosa Domina | {{인용문|<poem>O gloriosa Domina | ||
56번째 줄: | 54번째 줄: | ||
et porta lucis fulgida; | et porta lucis fulgida; | ||
vitam datam per Virginem, | vitam datam per Virginem, | ||
gentes redemptæ, plaudite.</poem>}} | gentes redemptæ, plaudite. | ||
Gloria tibi Domine, | |||
Qui natus es de virgine, | |||
Cum patre, et sancto spiritu, | |||
In sempiterna sæcula, Amen.</poem>}} | |||
{{인용문|<poem>그루리요자 도미노, | {{인용문|<poem>그루리요자 도미노, | ||
71번째 줄: | 74번째 줄: | ||
그루리야 텐나 도미노, 키뇨토 세츠 | 그루리야 텐나 도미노, 키뇨토 세츠 | ||
콘판챠 상토 스베라벤츠히, (세콜로 | 콘판챠 상토 | ||
스베라벤츠히, (세콜로, 아멘). </poem>}} | |||
== 일본어 성가 == | == 일본어 성가 == | ||
한편, 라틴어 성가뿐만이 아니라 일본의 순교자들을 기리는 곡들이 자체적으로 제작된 것이 있는데, 현재까지 남아 있는 곡은 두 곡이다. | 한편, 라틴어 성가뿐만이 아니라 일본의 순교자들을 기리는 곡들이 자체적으로 제작된 것이 있는데, 현재까지 남아 있는 곡은 두 곡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