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 두 판 사이의 차이

모든 지식의 총합을 위한 자유지식위키, 리프위키
(새 문서: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llang|en|Feminist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페미니스트 STS'''')은 과학기술연구(STS)의 이론적 하위 분야로서 젠더가 과학과 기술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탐사한다. 1980년대 초반 기술결정주의이 팽배한 데 반대한 STS 상대주의 이론들과 함께 형성되었다. 현실이 고정되어 있기보다 복합적이라고 보며, 과학적 객관성을 넘어선 ...)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llang|en|Feminist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페미니스트 STS'''')은 [[과학기술연구]](STS)의 이론적 하위 분야로서 젠더가 과학과 기술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탐사한다. 1980년대 초반 [[기술결정주의]]이 팽배한 데 반대한 STS 상대주의 이론들과 함께 형성되었다. 현실이 고정되어 있기보다 복합적이라고 보며, 과학적 [[객관성]]을 넘어선 [[상황화된 지식]]을 추구한다. 2000년대에 들어서 저명학자들이 과학지식, 기술의 디자인과 사용에 대한 페미니스트 비평을 생성하면서 페미니스트 STS에서 유물-기호 이론이 젠더와 기술의 관계에 대한 복합적인 이해를 나타내기 위해 등장하였다.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 가운데 [[페미스트 기술과학]]과 [[퀴어이론]]의 원칙이 결합되면서 연구 필드의 프레임워크가 확장됨에 따라, 젠더와 기술 간의 상호구성적 관계는 21세기 초 이항적 젠더역할에 대한 페미니스트 STS의 거부에 기여하였다.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llang|en|Feminist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페미니스트 STS'''')은 [[과학기술연구]](STS)의 이론적 하위 분야로서 젠더가 과학과 기술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탐사한다. 1980년대 초반 [[기술결정주의]]이 팽배한 데 반대한 STS 상대주의 이론들과 함께 형성되었다. 현실이 고정되어 있기보다 복합적이라고 보며, 과학적 [[객관성]]을 넘어선 [[상황화된 지식]]을 추구한다<ref name="law08">{{저널 인용 |last=Law |first=John |date=2008-11 |title=On Sociology and STS |journal=The Sociological Review |출판사=Sage |volume=56 |issue=4 |pages=623–649 |doi=10.1111/j.1467-954x.2008.00808.x |s2cid=149088374 |issn=0038-0261}}</ref>. 2000년대에 들어서 저명학자들이 과학지식, 기술의 디자인과 사용에 대한 페미니스트 비평을 생성하면서 페미니스트 STS에서 유물-기호 이론이 젠더와 기술의 관계에 대한 복합적인 이해를 나타내기 위해 등장하였다.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 가운데 [[페미스트 기술과학]]과 [[퀴어이론]]의 원칙이 결합되면서 연구 필드의 프레임워크가 확장됨에 따라, 젠더와 기술 간의 상호구성적 관계는 21세기 초 이항적 젠더역할에 대한 페미니스트 STS의 거부에 기여하였다.
 
지금까지 연구자들이 탐사하는 연구영역에는 젠더가 생성하거나 비인간 행위자와 상호작용하는 개인이나 집단이 만드는 [[정책]] 개발, [[재생산]], [[약학]], 소비자 제품 디자인 및 사용, [[엔지니어링]] 문화가 포함된다<ref name="law08" />.
<!-- <ref name=":4" /> This relationship of co-construction is prioritized by feminist STS scholars to emphasize that neither gender nor technology and science exist prior to their interaction, but instead, reality exists in the social and material interactions, producing these concepts as a result.<ref name=":8" /> Establishing this material-semiotic framework involved a decades-long process of internal negotiation between feminist STS researchers, binary gender presentations of past STS research undergoing detailed critique to reframe these understandings to reflect the field's stance on gender not as fixed, but as multiple and flexible.<ref name=":9" /><ref name=":8" />
 
Key concepts of feminist STS include material-semiotics, situated knowledges, and social constructivism. The discipline has contributed material-semiotic theory to contemporary STS research but has received criticism for the inability to universalize concepts in its research, limiting the field's impact.<ref name=":1" /><ref name=":8" /> -->


== 배경 및 역사 ==
== 배경 및 역사 ==
===1980년대 말 ~ 1990년대===
===1980년대 말 ~ 1990년대===
페미니스트 STS는 1980년대 페미니즘 이론이 [[과학기술연구]]에 도입되면서 생겨났으며 1985년 발표된 [[도나 헤러웨이]]의 〈[[사이보그 매니페스토]]〉에도 큰 영향을 받았다<ref name="law08" />.
===2000년대 이후 ===
===2000년대 이후 ===
== 핵심개념 ==
== 핵심개념 ==
9번째 줄: 16번째 줄:
=== 사회적 구성주의 ===
=== 사회적 구성주의 ===


== 주 ==
{{reflist|}}


[[분류:분야별 페미니즘]]
[[분류:분야별 페미니즘]]
[[분류:과학기술연구]]
[[분류:과학기술연구]]

2023년 1월 16일 (월) 17:54 판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영어: Feminist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페미니스트 STS')은 과학기술연구(STS)의 이론적 하위 분야로서 젠더가 과학과 기술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탐사한다. 1980년대 초반 기술결정주의이 팽배한 데 반대한 STS 상대주의 이론들과 함께 형성되었다. 현실이 고정되어 있기보다 복합적이라고 보며, 과학적 객관성을 넘어선 상황화된 지식을 추구한다[1]. 2000년대에 들어서 저명학자들이 과학지식, 기술의 디자인과 사용에 대한 페미니스트 비평을 생성하면서 페미니스트 STS에서 유물-기호 이론이 젠더와 기술의 관계에 대한 복합적인 이해를 나타내기 위해 등장하였다.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 가운데 페미스트 기술과학퀴어이론의 원칙이 결합되면서 연구 필드의 프레임워크가 확장됨에 따라, 젠더와 기술 간의 상호구성적 관계는 21세기 초 이항적 젠더역할에 대한 페미니스트 STS의 거부에 기여하였다.

지금까지 연구자들이 탐사하는 연구영역에는 젠더가 생성하거나 비인간 행위자와 상호작용하는 개인이나 집단이 만드는 정책 개발, 재생산, 약학, 소비자 제품 디자인 및 사용, 엔지니어링 문화가 포함된다[1].

배경 및 역사

1980년대 말 ~ 1990년대

페미니스트 STS는 1980년대 페미니즘 이론이 과학기술연구에 도입되면서 생겨났으며 1985년 발표된 도나 헤러웨이의 〈사이보그 매니페스토〉에도 큰 영향을 받았다[1].

2000년대 이후

핵심개념

유물기호론

상황화된 지식

사회적 구성주의

  1. 1.0 1.1 1.2 Law, John (2008년 11월). On Sociology and STS. 《The Sociological Review》 (Sage) 56 (4): 623–649. doi:10.1111/j.1467-954x.2008.00808.x. ISSN 0038-0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