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자/철학: 두 판 사이의 차이

모든 지식의 총합을 위한 자유지식위키, 리프위키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윗설명|철학에서 주체가 아닌 것들을 정의한 용어}}
{{윗설명|철학에서 주체가 아닌 것들을 정의한 용어}}
'''타자'''(他者, {{llang|en|Other}})는 나, 또는 [[주체]]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다른 사람이나 집단을 정의한 용어이다. [[현상학]]에서, '''타자'''{{small|the Other}}와 '''구성된 타자'''{{small|the Constitutive Other}}는 자아로부터 다른 이들을 구별하는 용어로서, 축적되고, 형성되어가는 주체의 자아성으로부터 타자를 구분하는 것, 즉 실제를 인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타자는 '''주체'''와 '''우리'''와 동일할 수 없을뿐 아니라 정반대되는 존재이다. 구성된 타자는 인간의 개성(궁극적 본성)과 개인(몸) 사이의 관계로서, 자아 안에서의 차이이기 때문에, 자아와 반대되면서도 보완적인 특성들과의 관계에 대응하는 본질적이자 표면적인 개인정체성의 특성이다.
'''타자'''(他者, {{llang|en|Other}})는 나, 또는 [[주체]]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다른 사람이나 집단을 정의한 용어이다. [[현상학]]에서, '''타자'''{{small|the Other}}와 '''구성된 타자'''{{small|the Constitutive Other}}는 자아로부터 다른 이들을 구별하는 용어로서, 축적되고, 형성되어가는 주체의 [[자아상]]으로부터 타자를 구분하는 것, 즉 실제를 인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타자는 '''주체'''와 '''우리'''와 동일할 수 없을뿐 아니라 정반대되는 존재이다. 구성된 타자는 인간의 개성(궁극적 본성)과 개인(몸) 사이의 관계로서, 자아 안에서의 차이이기 때문에, 자아와 반대되면서도 보완적인 특성들과의 관계에 대응하는 본질적이자 표면적인 개인정체성의 특성이다.


타자성의 조건 및 질성 (타자의 특성들)은 어느 사람의 [[사회정체성|사회]] · [[자아정체성]]과 독립된 상태에 있다. 철학담론에서, 타자성은 실제계, 미학, 청치담론, 사회규범성 및 정체성, 자아로부 구분되고 분리되는 사람과 대상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 이를 언급한다. 따라서, 타자성 조건은
타자성의 조건 및 질성 (타자의 특성들)은 어느 사람의 [[사회정체성|사회]] · [[자아정체성]]과 독립된 상태에 있다. 철학담론에서, 타자성은 실제계, 미학(예술, 아름다움, 취향), 정치담론, 사회규범성 및 정체성, 자아에게서 구분되고 분리되는 사람과 대상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 이를 언급한다. 따라서, 타자성 상태는 개인의 사회적 규범에 들어맞지 않는 상태이며, 타자성은 사회정치적 권력이 부여된 정부나 사회적 기구에 의해 이뤄지는 박탈 상태(정치적 배제)이다.
타자가 누구 또는 무엇인지,  


<!--
<!--The condition and quality of Otherne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Other) is the state of being different from and alien to the social identity of a person and to the identity of the Self.[5] In the discourse of philosophy, the term Otherness identifies and refers to the characteristics of Who? and What? of the Other, which are distinct and separate from the Symbolic order of things; from the Real (the authentic and unchangeable); from the æsthetic (art, beauty, taste); from political philosophy; from social norms and social identity; and from the Self. Therefore, the condition of Otherness is a person's non-conformity to and with the social norms of society; and Otherness is the condition of disenfranchisement (political exclusion), effected either by the State or by the social institutions (e.g., the professions) invested with the corresponding socio-political power. Therefore, the imposition of Otherness alienates the person labelled as "the Other" from the centre of society, and places him or her at the margins of society, for being the Other.[6]
Other is a term used to define another person or people as separate from oneself. In phenomenology, the terms the Other and distinguish other people from the Self, as a cumulative, constituting factor in the self-image of a person; as acknowledgement of being real; hence, the Other is dissimilar to and the opposite of the Self, of Us, and of the Same.[1][2] The Constitutive Other is the relation between the personality (essential nature) and the person (body) of a human being; the relation of essential and superficial characteristics of personal identity that correspond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opposite, but correlative, characteristics of the Self, because the difference is inner-difference, within the Self.[3][4]
-->
 
== 배경 ==
=== 철학 ===
[[자아]] 개념은 '''자아를 정의하기 위해''' 그 상대방 개체가 꼭 필요하기 때문에 구성된 타자를 요구하게 된다. 이에 따라, 18세기에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은 [[자기의식]]의 전제조건, 즉 그 구성요소로 타자 개념을 도입했으며, 이후 [[요한 고틀리프 피히테]]은 이 개념을 [[자의식]]의 전제 요소로서 제안하였다.
 
[[존 스튜어트 밀]]
 
=== 심리학 ===
 
 
=== 윤리학 ===


The condition and quality of Otherne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Other) is the state of being different from and alien to the social identity of a person and to the identity of the Self.[5] In the discourse of philosophy, the term Otherness identifies and refers to the characteristics of Who? and What? of the Other, which are distinct and separate from the Symbolic order of things; from the Real (the authentic and unchangeable); from the æsthetic (art, beauty, taste); from political philosophy; from social norms and social identity; and from the Self. Therefore, the condition of Otherness is a person's non-conformity to and with the social norms of society; and Otherness is the condition of disenfranchisement (political exclusion), effected either by the State or by the social institutions (e.g., the professions) invested with the corresponding socio-political power. Therefore, the imposition of Otherness alienates the person labelled as "the Other" from the centre of society, and places him or her at the margins of society, for being the Other.[6]
-->


[[분류:철학 개념]]
[[분류:철학 개념]]
{{번역중|Other (philosophy)}}
{{번역중|Other (philosophy)}}

2024년 9월 10일 (화) 17:57 기준 최신판

타자(他者, 영어: Other)는 나, 또는 주체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다른 사람이나 집단을 정의한 용어이다. 현상학에서, 타자the Other구성된 타자the Constitutive Other는 자아로부터 다른 이들을 구별하는 용어로서, 축적되고, 형성되어가는 주체의 자아상으로부터 타자를 구분하는 것, 즉 실제를 인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타자는 주체우리와 동일할 수 없을뿐 아니라 정반대되는 존재이다. 구성된 타자는 인간의 개성(궁극적 본성)과 개인(몸) 사이의 관계로서, 자아 안에서의 차이이기 때문에, 자아와 반대되면서도 보완적인 특성들과의 관계에 대응하는 본질적이자 표면적인 개인정체성의 특성이다.

타자성의 조건 및 질성 (타자의 특성들)은 어느 사람의 사회 · 자아정체성과 독립된 상태에 있다. 철학담론에서, 타자성은 실제계, 미학(예술, 아름다움, 취향), 정치담론, 사회규범성 및 정체성, 자아에게서 구분되고 분리되는 사람과 대상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 이를 언급한다. 따라서, 타자성 상태는 개인의 사회적 규범에 들어맞지 않는 상태이며, 타자성은 사회정치적 권력이 부여된 정부나 사회적 기구에 의해 이뤄지는 박탈 상태(정치적 배제)이다.


배경

철학

자아 개념은 자아를 정의하기 위해 그 상대방 개체가 꼭 필요하기 때문에 구성된 타자를 요구하게 된다. 이에 따라, 18세기에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자기의식의 전제조건, 즉 그 구성요소로 타자 개념을 도입했으며, 이후 요한 고틀리프 피히테은 이 개념을 자의식의 전제 요소로서 제안하였다.

존 스튜어트 밀

심리학

윤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