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9번째 줄: | 9번째 줄: | ||
페미니스트 STS는 1980년대 페미니즘 이론이 [[과학기술연구]]에 도입되면서 생겨났으며 1985년 발표된 [[도나 헤러웨이]]의 〈[[사이보그 매니페스토]]〉에도 큰 영향을 받았다<ref name="law08" />. 이 학제는 객관성 및 기술결정주의에 대한 비판에 대한 대응으로서 [[기술의 사회구성]]{{s|Social construction of technology, SCOT}} 및 [[행위자-연결망 이론]]{{s|Actor-network theory, ANT}}와 함께 저명성을 얻게 되었다<ref name="law08" />. 초기 페미니스트 STS 문헌들은 거주시설의 전화기에 대한 [[클라우드 피셔]]{{s|Claude S. Fischer}}의 연구<ref name="fis88">{{저널 인용 |last=Fischer |first=Claude S. |date=1988 |title=Gender and the residential telephone, 1890—1940: Technologies of sociability |url=https://www.jstor.org/stable/684365 |journal=Sociological Forum |volume=3 |issue=2 |pages=211–233 |doi=10.1007/bf01115291 |s2cid=143901327 |issn=0884-8971}}</ref>나 신시아 쿡번, 수잔 옴로드의 [[전자레인지]] 에 대한 연구와 같이 기술 사용에 있어서의 젠더 차이에 집중했다<ref name="wa00" />. | 페미니스트 STS는 1980년대 페미니즘 이론이 [[과학기술연구]]에 도입되면서 생겨났으며 1985년 발표된 [[도나 헤러웨이]]의 〈[[사이보그 매니페스토]]〉에도 큰 영향을 받았다<ref name="law08" />. 이 학제는 객관성 및 기술결정주의에 대한 비판에 대한 대응으로서 [[기술의 사회구성]]{{s|Social construction of technology, SCOT}} 및 [[행위자-연결망 이론]]{{s|Actor-network theory, ANT}}와 함께 저명성을 얻게 되었다<ref name="law08" />. 초기 페미니스트 STS 문헌들은 거주시설의 전화기에 대한 [[클라우드 피셔]]{{s|Claude S. Fischer}}의 연구<ref name="fis88">{{저널 인용 |last=Fischer |first=Claude S. |date=1988 |title=Gender and the residential telephone, 1890—1940: Technologies of sociability |url=https://www.jstor.org/stable/684365 |journal=Sociological Forum |volume=3 |issue=2 |pages=211–233 |doi=10.1007/bf01115291 |s2cid=143901327 |issn=0884-8971}}</ref>나 신시아 쿡번, 수잔 옴로드의 [[전자레인지]] 에 대한 연구와 같이 기술 사용에 있어서의 젠더 차이에 집중했다<ref name="wa00" />. | ||
아델 클라크와 테레사 몬티니의 [[낙태약]] 기술 RU486에 대한 대립장{{s|arena}} 분석<ref name="ct93">{{저널 인용 |last1=Clarke |first1=Adele |last2=Montini |first2=Theresa |날짜=1993-01 |title=The Many Faces of RU486: Tales of Situated Knowledges and Technological Contestations |url=https://journals.sagepub.com/doi/10.1177/016224399301800104 |journal=Science, Technology, & Human Values |volume=18 |issue=1 |pages=42–78 |doi=10.1177/016224399301800104 |pmid=11652075 |s2cid=37831193 |issn=0162-2439}}</ref>을 포함한 초기 페미니스트 STS 연구자들은 다른 방식으로 기술과 상호작용하는 남성과 여성을 보여주기 위해 [[사례분석]] 방법론을 사용했다<ref name="wa00" />. 이러한 연구들은 사회적 상호작용 속에서 남성성이나 여성성에 따라 기술과 결합되는 방식을 구축했다는 점에서 중요했다. 연구들은 남성성과 여성성을 구분짓는 방식이 이항적 구축물이 아닌 다층적임을 보여줬을 뿐만이 아니라 상황화된 지식의 증거, 즉 중립적 주체나 연구자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생각의 근거를 제시하였다<ref name="ct93">. | 아델 클라크와 테레사 몬티니의 [[낙태약]] 기술 RU486에 대한 대립장{{s|arena}} 분석<ref name="ct93">{{저널 인용 |last1=Clarke |first1=Adele |last2=Montini |first2=Theresa |날짜=1993-01 |title=The Many Faces of RU486: Tales of Situated Knowledges and Technological Contestations |url=https://journals.sagepub.com/doi/10.1177/016224399301800104 |journal=Science, Technology, & Human Values |volume=18 |issue=1 |pages=42–78 |doi=10.1177/016224399301800104 |pmid=11652075 |s2cid=37831193 |issn=0162-2439}}</ref>을 포함한 초기 페미니스트 STS 연구자들은 다른 방식으로 기술과 상호작용하는 남성과 여성을 보여주기 위해 [[사례분석]] 방법론을 사용했다<ref name="wa00" />. 이러한 연구들은 사회적 상호작용 속에서 남성성이나 여성성에 따라 기술과 결합되는 방식을 구축했다는 점에서 중요했다. 연구들은 남성성과 여성성을 구분짓는 방식이 이항적 구축물이 아닌 다층적임을 보여줬을 뿐만이 아니라 상황화된 지식의 증거, 즉 중립적 주체나 연구자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생각의 근거를 제시하였다<ref name="ct93" />. | ||
<!-- From establishing a presence in [[pharmaceutical]] and commercial technologies, feminist STS expanded into questioning the dominant authority of science by the early 1990s, borrowing [[methodology]] from ANT to expand upon prior research.<ref name=":3" /> Theory and methods from SCOT were also incorporated into the discipline as researchers began to explore the process through which gender becomes embedded within technology, with studies adopting principles of [[social constructivism]], for example, [[Judy Wajcman]]'s research on the culture of [[engineering]].<ref name=":3" /> Other feminist STS studies throughout the 1990s were also influenced by the work of [[Steve Woolgar]] and his research on how technology is designed with users in mind,<ref name=":6">{{Cite journal |last=Woolgar |first=Steve |date=May 1990 |title=Configuring the User: The Case of Usability Trials |url=http://dx.doi.org/10.1111/j.1467-954x.1990.tb03349.x |journal=The Sociological Review |volume=38 |issue=1_suppl |pages=58–99 |doi=10.1111/j.1467-954x.1990.tb03349.x |s2cid=145786443 |issn=0038-0261}}</ref> such as [[Trevor Pinch]] and [[Nancy Oudshoorn]], who continued research into user configuration into the 2000s.<ref name=":4">{{cite book |editor1-last=Oudshoorn |editor1-first=Nelly |editor2-last=Pinch |editor2-first=Trevor |title=How users matter: The co-construction of users and technologies |date=2005 |publisher=MIT Press |location=Cambridge, Mass., U.S. |isbn=9780262281119 |chapter=Introduction: How users and non-users matter |volume=1-25 |pages=1–8 |doi=10.7551/mitpress/3592.001.0001 |chapter-url=https://eusp.org/sites/default/files/archive/stories/library/Exhibitions/0061087.pdf}}</ref> | <!-- From establishing a presence in [[pharmaceutical]] and commercial technologies, feminist STS expanded into questioning the dominant authority of science by the early 1990s, borrowing [[methodology]] from ANT to expand upon prior research.<ref name=":3" /> Theory and methods from SCOT were also incorporated into the discipline as researchers began to explore the process through which gender becomes embedded within technology, with studies adopting principles of [[social constructivism]], for example, [[Judy Wajcman]]'s research on the culture of [[engineering]].<ref name=":3" /> Other feminist STS studies throughout the 1990s were also influenced by the work of [[Steve Woolgar]] and his research on how technology is designed with users in mind,<ref name=":6">{{Cite journal |last=Woolgar |first=Steve |date=May 1990 |title=Configuring the User: The Case of Usability Trials |url=http://dx.doi.org/10.1111/j.1467-954x.1990.tb03349.x |journal=The Sociological Review |volume=38 |issue=1_suppl |pages=58–99 |doi=10.1111/j.1467-954x.1990.tb03349.x |s2cid=145786443 |issn=0038-0261}}</ref> such as [[Trevor Pinch]] and [[Nancy Oudshoorn]], who continued research into user configuration into the 2000s.<ref name=":4">{{cite book |editor1-last=Oudshoorn |editor1-first=Nelly |editor2-last=Pinch |editor2-first=Trevor |title=How users matter: The co-construction of users and technologies |date=2005 |publisher=MIT Press |location=Cambridge, Mass., U.S. |isbn=9780262281119 |chapter=Introduction: How users and non-users matter |volume=1-25 |pages=1–8 |doi=10.7551/mitpress/3592.001.0001 |chapter-url=https://eusp.org/sites/default/files/archive/stories/library/Exhibitions/0061087.pdf}}</ref> |
2023년 1월 17일 (화) 21:07 판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영어: Feminist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페미니스트 STS)은 과학기술연구(STS)의 이론적 하위 분야로서 젠더가 과학과 기술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탐사한다. 1980년대 초반 기술결정주의이 팽배한 데 반대한 STS 상대주의 이론들과 함께 형성되었다. 현실이 고정되어 있기보다 복합적이라고 보며, 과학적 객관성을 넘어선 상황화된 지식을 추구한다[1]. 2000년대에 들어서 저명학자들이 과학지식, 기술의 디자인과 사용에 대한 페미니스트 비평을 생성하면서 페미니스트 STS에서 유물-기호 이론이 젠더와 기술의 관계에 대한 복합적인 이해를 나타내기 위해 등장하였다[2].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 가운데 페미스트 기술과학과 퀴어이론의 원칙이 결합되면서 연구영역field의 프레임워크가 확장됨에 따라, 젠더와 기술 간의 상호구성적 관계는 21세기 초 이항적 젠더역할에 대한 페미니스트 STS의 거부에 기여하였다.
지금까지 연구자들이 탐사해 온 연구영역에는 젠더가 생성하거나 비인간 행위자와 상호작용하는 개인이나 집단이 만드는 정책 개발, 재생산, 약학, 소비자 제품 디자인 및 사용, 엔지니어링 문화가 포함된다[1]. 페미니스트 STS 연구자들은 이러한 공동구축 관계가 젠더·기술·과학이 이들에 의한 상호작용보다 앞서 존재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한다[3]. 이 유물-기호 프레임워크는 페미니스트 STS 연구자들간의 수십년 동안의 내부적 협상 절차를 통해 구축되었으나, 이전의 STS 연구물들이 보여준 이항적 젠더실천 이해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다층적이며 유연한 젠더에 대한 필드의 관점을 반영하기 위한 세밀한 비평을 겪고 있다[3].
페미니스트 STS의 핵심 개념에는 유물기호학, 상황화된 지식, 사회구성주의가 있다. 이 학제는 유물기호이론을 현재의 과학기술연구에 포함하는데 기여하였으나 연구 속의 개념들의 범용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어 연구영역의 영향력을 감소시키고 있다[1][3].
배경 및 역사
1980년대 말 ~ 1990년대
페미니스트 STS는 1980년대 페미니즘 이론이 과학기술연구에 도입되면서 생겨났으며 1985년 발표된 도나 헤러웨이의 〈사이보그 매니페스토〉에도 큰 영향을 받았다[1]. 이 학제는 객관성 및 기술결정주의에 대한 비판에 대한 대응으로서 기술의 사회구성Social construction of technology, SCOT 및 행위자-연결망 이론Actor-network theory, ANT와 함께 저명성을 얻게 되었다[1]. 초기 페미니스트 STS 문헌들은 거주시설의 전화기에 대한 클라우드 피셔Claude S. Fischer의 연구[4]나 신시아 쿡번, 수잔 옴로드의 전자레인지 에 대한 연구와 같이 기술 사용에 있어서의 젠더 차이에 집중했다[2].
아델 클라크와 테레사 몬티니의 낙태약 기술 RU486에 대한 대립장arena 분석[5]을 포함한 초기 페미니스트 STS 연구자들은 다른 방식으로 기술과 상호작용하는 남성과 여성을 보여주기 위해 사례분석 방법론을 사용했다[2]. 이러한 연구들은 사회적 상호작용 속에서 남성성이나 여성성에 따라 기술과 결합되는 방식을 구축했다는 점에서 중요했다. 연구들은 남성성과 여성성을 구분짓는 방식이 이항적 구축물이 아닌 다층적임을 보여줬을 뿐만이 아니라 상황화된 지식의 증거, 즉 중립적 주체나 연구자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생각의 근거를 제시하였다[5].
2000년대 이후
핵심개념
유물기호론
상황화된 지식
사회적 구성주의
주
- ↑ 1.0 1.1 1.2 1.3 1.4 Law, John (2008년 11월). On Sociology and STS. 《The Sociological Review》 (Sage) 56 (4): 623–649. doi:10.1111/j.1467-954x.2008.00808.x. ISSN 0038-0261.
- ↑ 2.0 2.1 2.2 Wajcman, Judy (2000년 6월). Reflections on Gender and Technology Studies. 《Social Studies of Science》 30 (3): 447–464. doi:10.1177/030631200030003005. ISSN 0306-3127.
- ↑ 3.0 3.1 3.2 Wajcman, Judy. 〈Feminist theories of technology〉, 《Handbook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SAGE Publications Inc., 189–204쪽. doi:10.4135/9781412990127.n9. ISBN: 978-0-7619-2498-2
- ↑ Fischer, Claude S. (1988년). Gender and the residential telephone, 1890—1940: Technologies of sociability. 《Sociological Forum》 3 (2): 211–233. doi:10.1007/bf01115291. ISSN 0884-8971.
- ↑ 5.0 5.1 (1993년 1월) The Many Faces of RU486: Tales of Situated Knowledges and Technological Contestations. 《Science, Technology, & Human Values》 18 (1): 42–78. PMID 11652075. doi:10.1177/016224399301800104. ISSN 0162-24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