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 두 판 사이의 차이

333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1월 26일 (목)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llang|en|Feminist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페미니스트 STS''')은 [[과학기술연구]](STS)의 이론적 하위 분야로서 젠더가 과학과 기술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탐사한다. 1980년대 초반 [[기술결정주의]]이 팽배한 데 반대한 STS 상대주의 이론들과 함께 형성되었다. 현실이 고정되어 있기보다 복합적이라고 보며, 과학적 [[객관성]]을 넘어선 [[상황화된 지식]]을 추구한다<ref name="law08">{{저널 인용 |last=Law |first=John |date=2008-11 |title=On Sociology and STS |journal=The Sociological Review |출판사=Sage |volume=56 |issue=4 |pages=623–649 |doi=10.1111/j.1467-954x.2008.00808.x |s2cid=149088374 |issn=0038-0261}}</ref><!--:0-->. 2000년대에 들어서 저명학자들이 과학지식, 기술의 디자인과 사용에 대한 페미니스트 비평을 생성하면서 페미니스트 STS에서 유물-기호 이론이 젠더와 기술의 관계에 대한 복합적인 이해를 나타내기 위해 등장하였다<ref name="wa00">{{저널 인용 |last=Wajcman |first=Judy |date=2000-06 |title=Reflections on Gender and Technology Studies |url=https://journals.sagepub.com/doi/10.1177/030631200030003005 |journal=Social Studies of Science |volume=30 |issue=3 |pages=447–464 |doi=10.1177/030631200030003005 |s2cid=145345073 |issn=0306-3127}}</ref>.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 가운데 [[페미스트 기술과학]]과 [[퀴어이론]]의 원칙이 결합되면서 연구영역{{s|field}}의 프레임워크가 확장됨에 따라, 젠더와 기술 간의 상호구성적 관계는 21세기 초 이항적 젠더역할에 대한 페미니스트 STS의 거부에 기여하였다.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Sfn|와이즈먼|2009}}({{llang|en|Feminist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페미니스트 STS''')은 [[과학기술연구]](STS)의 이론적 하위 분야로서 젠더가 과학과 기술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탐사한다. 1980년대 초반 [[기술결정주의]]이 팽배한 데 반대한 STS 상대주의 이론들과 함께 형성되었다. 현실이 고정되어 있기보다 복합적이라고 보며, 과학적 [[객관성]]을 넘어선 [[상황화된 지식]]을 추구한다<ref name="law08">{{저널 인용 |last=Law |first=John |date=2008-11 |title=On Sociology and STS |journal=The Sociological Review |출판사=Sage |volume=56 |issue=4 |pages=623–649 |doi=10.1111/j.1467-954x.2008.00808.x |s2cid=149088374 |issn=0038-0261}}</ref><!--:0-->. 2000년대에 들어서 저명학자들이 과학지식, 기술의 디자인과 사용에 대한 페미니스트 비평을 생성하면서 페미니스트 STS에서 유물-기호 이론이 젠더와 기술의 관계에 대한 복합적인 이해를 나타내기 위해 등장하였다<ref name="wa00">{{저널 인용 |last=Wajcman |first=Judy |date=2000-06 |title=Reflections on Gender and Technology Studies |url=https://journals.sagepub.com/doi/10.1177/030631200030003005 |journal=Social Studies of Science |volume=30 |issue=3 |pages=447–464 |doi=10.1177/030631200030003005 |s2cid=145345073 |issn=0306-3127}}</ref>.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 가운데 [[페미스트 기술과학]]과 [[퀴어이론]]의 원칙이 결합되면서 연구영역{{s|field}}의 프레임워크가 확장됨에 따라, 젠더와 기술 간의 상호구성적 관계는 21세기 초 이항적 젠더역할에 대한 페미니스트 STS의 거부에 기여하였다.


지금까지 연구자들이 탐사해 온 연구영역에는 젠더가 생성하거나 비인간 행위자와 상호작용하는 개인이나 집단이 만드는 [[정책]] 개발, [[재생산]], [[약학]], 소비자 제품 디자인 및 사용, [[엔지니어링]] 문화가 포함된다<ref name="law08" /><!--:4--><ref name="opi05">{{책 인용|editor1-last=Oudshoorn |editor1-first=Nelly |editor2-last=Pinch |editor2-first=Trevor |title=How USERS matter: The co-construction of users and technologies |date=2005 |publisher=MIT Press |location=Cambridge, Mass., U.S. |isbn=978-0-262-65109-7 |chapter=Introduction: How users and non-users matter |volume=1-25 |pages=1–8 |doi=10.7551/mitpress/3592.001.0001 |chapter-url=https://eusp.org/sites/default/files/archive/stories/library/Exhibitions/0061087.pdf}}</ref>. 페미니스트 STS 연구자들은 이러한 공동구축 관계가 젠더·기술·과학이 이들에 의한 상호작용보다 앞서 존재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한다<ref name="wa95">{{책 인용|last=Wajcman |first=Judy |title=Handbook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날짜=1995 |pages=189–204 |place= |publisher=SAGE |장=Feminist theories of technology |doi=10.4135/9781412990127.n9 |isbn=978-0-7619-2498-2 |access-date=2022-04-11}}</ref>. 이 유물-기호 프레임워크는 페미니스트 STS 연구자들간의 수십년 동안의 내부적 협상 절차를 통해 구축되었으나, 이전의 STS 연구물들이 보여준 이항적 젠더실천 이해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다층적이며 유연한 젠더에 대한 필드의 관점을 반영하기 위한 세밀한 비평을 겪고 있다<ref name="wa95" />.  
지금까지 연구자들이 탐사해 온 연구영역에는 젠더가 생성하거나 비인간 행위자와 상호작용하는 개인이나 집단이 만드는 [[정책]] 개발, [[재생산]], [[약학]], 소비자 제품 디자인 및 사용, [[엔지니어링]] 문화가 포함된다<ref name="law08" /><!--:4--><ref name="opi05">{{책 인용|editor1-last=Oudshoorn |editor1-first=Nelly |editor2-last=Pinch |editor2-first=Trevor |title=How USERS matter: The co-construction of users and technologies |date=2005 |publisher=MIT Press |location=Cambridge, Mass., U.S. |isbn=978-0-262-65109-7 |chapter=Introduction: How users and non-users matter |volume=1-25 |pages=1–8 |doi=10.7551/mitpress/3592.001.0001 |chapter-url=https://eusp.org/sites/default/files/archive/stories/library/Exhibitions/0061087.pdf}}</ref>. 페미니스트 STS 연구자들은 이러한 공동구축 관계가 젠더·기술·과학이 이들에 의한 상호작용보다 앞서 존재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한다<ref name="wa95">{{책 인용|last=Wajcman |first=Judy |title=Handbook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날짜=1995 |pages=189–204 |place= |publisher=SAGE |장=Feminist theories of technology |doi=10.4135/9781412990127.n9 |isbn=978-0-7619-2498-2 |access-date=2022-04-11}}</ref>. 이 유물-기호 프레임워크는 페미니스트 STS 연구자들간의 수십년 동안의 내부적 협상 절차를 통해 구축되었으나, 이전의 STS 연구물들이 보여준 이항적 젠더실천 이해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다층적이며 유연한 젠더에 대한 필드의 관점을 반영하기 위한 세밀한 비평을 겪고 있다<ref name="wa95" />.  
27번째 줄: 27번째 줄:
== 주 ==
== 주 ==
{{reflist|}}
{{reflist|}}
== 참고문헌 ==
* {{책 인용|저자=[[주디 와이즈먼]]|제목=[[테크노페미니즘]]|출판사=[[궁리]]|날짜=2009|ISBN=978-89-5820-174-8|ref=CITEREF와이즈먼2009}}, 원전:{{책 인용|성=Wajcman|이름=Judy|제목=TechnoFeminism|출판사=Polity press|ISBN=0-7456-3043-X|날짜=2004}}


[[분류:분야별 페미니즘]]
[[분류:분야별 페미니즘]]
[[분류:과학기술연구]]
[[분류:과학기술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