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권리운동: 두 판 사이의 차이

756 바이트 제거됨 ,  2018년 4월 21일 (토)
잔글
잔글 (→‎역사)
잔글 (→‎역사)
11번째 줄: 11번째 줄:
2004년에, '''미셸 다우슨'''(Michelle Dawson)은 [[행동응용분석]] ([[ABA]])의 윤리적 기반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그는 '''어톤 대 브리티시 콜롬비아주'''(Auton (Guardian ad litem of) v. British Columbia (Attorney General)) 사건에서 ABA의 정부 기금 요구에 대항하는 입장으로 증언했다<ref name="RogerCollier"/>. 같은 해 [[뉴욕타임즈]]는 기자 '''에이미 하몬'''(Amy Harmon)이 자폐인권적 관점에서 작성한 기사 "치료를 멈춰줄래요? 라고 몇몇 자폐인들이 요청하다"(How about not curing us? Some autistics are pleading.)를 보도했다<ref name=Harmon>{{언어고리|en}}{{뉴스 인용|last=Harmon |first=Amy |title=How About Not 'Curing' Us, Some Autistics Are Pleading |date=2004-12-20 |work=The New York Times |url=https://www.nytimes.com/2004/12/20/health/20autism.html |확인날자=2007-11-07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11202073041/http://www.nytimes.com/2004/12/20/health/20autism.html |보존일자=December 2, 2011}}</ref>. 또한 이 해 [[자유를 원하는 아스피들]](Aspies For Freedom, AFF)가 생겨났으며, AFF는 다음해인 [[2005년]]부터 [[6월 18일]]을 [[자폐 자랑의 날]](Autistic Pride Day)로 지정해 기념하기 시작했다. AFF는 또한 '''전국자폐연구연대'''(National Alliance for Autism Research), '''당장 자폐를 치료하라'''(Cure Autism Now), '''저지 로텐베르크 센터'''(Judge Rotenberg Center)에 대한 항의행동을 시작하는데 기여했다<ref name="Harmon"/>.
2004년에, '''미셸 다우슨'''(Michelle Dawson)은 [[행동응용분석]] ([[ABA]])의 윤리적 기반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그는 '''어톤 대 브리티시 콜롬비아주'''(Auton (Guardian ad litem of) v. British Columbia (Attorney General)) 사건에서 ABA의 정부 기금 요구에 대항하는 입장으로 증언했다<ref name="RogerCollier"/>. 같은 해 [[뉴욕타임즈]]는 기자 '''에이미 하몬'''(Amy Harmon)이 자폐인권적 관점에서 작성한 기사 "치료를 멈춰줄래요? 라고 몇몇 자폐인들이 요청하다"(How about not curing us? Some autistics are pleading.)를 보도했다<ref name=Harmon>{{언어고리|en}}{{뉴스 인용|last=Harmon |first=Amy |title=How About Not 'Curing' Us, Some Autistics Are Pleading |date=2004-12-20 |work=The New York Times |url=https://www.nytimes.com/2004/12/20/health/20autism.html |확인날자=2007-11-07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11202073041/http://www.nytimes.com/2004/12/20/health/20autism.html |보존일자=December 2, 2011}}</ref>. 또한 이 해 [[자유를 원하는 아스피들]](Aspies For Freedom, AFF)가 생겨났으며, AFF는 다음해인 [[2005년]]부터 [[6월 18일]]을 [[자폐 자랑의 날]](Autistic Pride Day)로 지정해 기념하기 시작했다. AFF는 또한 '''전국자폐연구연대'''(National Alliance for Autism Research), '''당장 자폐를 치료하라'''(Cure Autism Now), '''저지 로텐베르크 센터'''(Judge Rotenberg Center)에 대한 항의행동을 시작하는데 기여했다<ref name="Harmon"/>.


2006년에는 자폐 아동의 어머니인 '''에스테 클라르'''(Estée Klar)가 자폐인 조언자와 이사들의 도움을 받아 '''자폐 수용 프로젝트'''(the Autism Acceptance Project, TAAProject)를 창립했다.<ref name="taaproject">{{언어고리|en}}{{웹 인용|url=http://www.taaproject.com/|제목=TAAProject &#124; The Autism Acceptance Project|출판사=taaproject.com|확인일자=2014-11-04}}</ref> 이 프로젝트는 [[자폐자조네트워크]](ASAN) 및 다른 운동가 그룹들과 제휴를 맺었으며 뉴욕 어린이 교육 캠패인에 반대하는 서명운동에 처음으로 서명한 그룹 중 하나가 됐다. 이후 ASAN이 [[유엔|국제연합]]에 보낸 서한에서도 자폐 수용을 홍보한 최초의 자폐 관련 단체로서 기재되었다. 2005년 8월부터, TAAProject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온라인에서 싹 활동중인 자폐인권운동을 보여주는 예술기반 행사를 조직했다. 또한, [[토론토]]에서 개최된 논란이 될만한 이벤트와 강연인 〈자폐의 기쁨: 능력과 삶의 질에 대한 재정의〉(Joy of Autism: Redefining Ability and Quality of Life)에도 후원했는데, 여기에서는 수십 명의 자폐 아티스트들과 짐 신클레어, 미셸 다우슨, 필 슈왈츠(Phil Schwartz), 몰턴 앤 겐스바허(Morton Ann Gernsbacher), 래리 비손네트(Larry Bissonnette) 등의 연사들이 참여했다. 2014년에, TAAProject는 요크대와 함께 건반으로 소통하는 무언어 자폐 자조옹호자가 자폐에 대해 논의하도록 하고, 이를
2006년에는 자폐 아동의 어머니인 '''에스테 클라르'''(Estée Klar)가 자폐인 조언자와 이사들의 도움을 받아 '''자폐 수용 프로젝트'''(the Autism Acceptance Project, TAAProject)를 창립했다.<ref name="taaproject">{{언어고리|en}}{{웹 인용|url=http://www.taaproject.com/|제목=TAAProject &#124; The Autism Acceptance Project|출판사=taaproject.com|확인일자=2014-11-04}}</ref> 이 프로젝트는 [[자폐자조네트워크]](ASAN) 및 다른 운동가 그룹들과 제휴를 맺었으며 뉴욕 어린이 교육 캠패인에 반대하는 서명운동에 처음으로 서명한 그룹 중 하나가 됐다. 이후 ASAN이 [[유엔|국제연합]]에 보낸 서한에서도 자폐 수용을 홍보한 최초의 자폐 관련 단체로서 기재되었다. 2005년 8월부터, TAAProject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온라인에서 싹 활동중인 자폐인권운동을 보여주는 예술기반 행사를 조직했다. 또한, [[토론토]]에서 개최된 논란이 될만한 이벤트와 강연인 〈자폐의 기쁨: 능력과 삶의 질에 대한 재정의〉(Joy of Autism: Redefining Ability and Quality of Life)에도 후원했는데, 여기에서는 수십 명의 자폐 아티스트들과 짐 신클레어, 미셸 다우슨, '''슈바르츠'''(Phil Schwartz), '''몰턴 앤 겐스바허'''(Morton Ann Gernsbacher), '''래리 비손네트'''(Larry Bissonnette) 등의 연사들이 참여했다. 2014년에, TAAProject는 요크대와 함께 건반으로 소통하는 무언어 자폐 자조옹호자 래리 빗손네트와 '''트레이시 트레셔'''(Tracy Thresher)가 자폐에 대해 논의하도록 하고, 또한 영화 [[웻치스 앤 자버러스]](Wretches & Jabberers)를 상영하는 행사를 열었다. {{출처|에스테 클라르는 현재 토론토 요크대 비평장애연구학 박사과정에서도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The project affiliated with The Autistic Self Advocacy Network and other activist groups in North America and was one of the first to sign the petition against the New York Child Study Campaign. It is also recognized by ASAN in a letter to the United Nations of being one of the first autism organizations to promote autism acceptance. From 2005-8, TAAProject organized arts-based events to show the public an active autism rights movement that burgeoned online. In addition, it sponsored the controversial Joy of Autism: Redefining Ability and Quality of Life events and lectures in Toronto, featuring dozens of autistic artists and speakers including Jim Sinclair, Michelle Dawson, Phil Schwartz, Morton Ann Gernsbacher, Larry Bissonnette and more. In 2014, TAAProject worked with York University to bring non-verbal autistic self-advocates who type to communicate, Larry Bissonnette and Tracy Thresher to discuss autism and screen the film Wretches & Jabberers. Estee Klar continues her work also in Critical Disability Studies (PhD program) at York University in Toronto.


2008년, [[자폐자조네트워크]]가 자폐를 폄하하는 것으로 나타난 두개의 광고 캠패인을 멈추는데 성공했다. 첫번째 연속 광고들은 [[랜섬노트]] 형태로 [[뉴욕대]] 아동연구센터가 내보낸 것으로, 이 중 하나에는 "당신의 아들을 납치했다. 그가 사는 동안 자신을 돌볼 수 없고, 사회에서 상호작용할 수 없게 만들어주마. 이건 시작일 뿐이다"라고 되어 있고, 서명자는 "자폐증"으로 되어 있었다<ref name="Solomon"/>. 두번째 광고는 [[PETA]]가 냈으며, 우유 위에 시리얼로 찡그린 얼굴을 구성한 사진 위에 "장애 있나요?"라는 글이 있었다. PETA는 이 글을  
2008년, [[자폐자조네트워크]]가 자폐를 폄하하는 것으로 나타난 두개의 광고 캠패인을 멈추는데 성공했다. 첫번째 연속 광고들은 [[랜섬노트]] 형태로 [[뉴욕대]] 아동연구센터가 내보낸 것으로, 이 중 하나에는 "당신의 아들을 납치했다. 그가 사는 동안 자신을 돌볼 수 없고, 사회에서 상호작용할 수 없게 만들어주마. 이건 시작일 뿐이다"라고 되어 있고, 서명자는 "자폐증"으로 되어 있었다<ref name="Solomon"/>. 두번째 광고는 [[PETA]]가 냈으며, 우유 위에 시리얼로 찡그린 얼굴을 구성한 사진 위에 "장애 있나요?"라는 글이 있었다. PETA는 이 글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