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의 진군: 두 판 사이의 차이

5,544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6월 4일 (일)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 (→‎가사)
잔글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Yukino singun 1915.png|thumb|1915년 《눈의 진군》 하모니카 [[숫자보]]]]
[[파일:Yuki no shingun.ogg|thumb|1942-45년 [[NHK]] 합창단 가창]]
'''《눈의 진군》'''({{ja-y|雪の進軍|ゆきのしんぐん|유키노 신군}})은 [[청일전쟁]]을 거친 나가이 켄시({{llang|ja|永井建子}})가 [[1895년]] 2월 중순에 작사·작곡한 라장조 2/4 요나누키장조의 노래다. 가사는 77조로 작성돼 있다{{Sfn|이유희|2017|p=53}}. 이 군가는 군가와 어울리지 않는 내용에도 불구하고 당시 청일전쟁의 현실을 반영한 군가의 특성상 [[일본군]] 군가로 편입돼 오랫동안 살아남았다.
 
'''《눈의 진군》'''({{ja-y|雪の進軍|ゆきのしんぐん|유키노 신군}})은 [[청일전쟁]]을 거친 나가이 켄시({{llang|ja|永井建子}})가 [[1895년]] 2월 중순에 작사·작곡한 라장조 2/4의 [[일본의 군가|일본 군가]]다. 가사는 77조로 작성돼 있다{{Sfn|이유희|2017|p=53}}. 내용이 기존의 군가와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청일전쟁의 현실을 반영한 군가의 특성상 [[일본군]] 군가로 편입돼 오랫동안 살아남았다.


== 역사 ==
== 역사 ==
나가이 켄시는 청일전쟁 제2군 군악대의 군악차장으로 출정해, [[여순전투]]와 [[위해전투]]를 돌아다녔다. 위해전투에 참가했을 때의 경험과 주변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작곡하였다. 이 당시 중국 전장에 있던 일본군들은 눈속에서 배고픔과 추움을 견뎌야 했기에, 나가이는 그 모습을 빠짐없이 관찰해 작곡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1895년 8월 《음악잡지》(音楽雑誌) 52호에 실려 처음 출간되었고, 그해 10월에는 《대동군가》 꽃권(大東軍歌 花の巻)에 실려 군가로 인정되었다{{Sfn|長谷川외|2009|p=25}}{{Sfn|小村|2011|pp=132-135}}. 곡은 장병들 사이에 빠르게 퍼져 애창되었으며, 당시 사령관이던 오오야마 이야오(大山巌)는 이 곡을 좋아해 죽기 직전까지 병상에서 노래 음반을 들었다고 한다{{Sfn|堀内|1969}}.  
[[파일:Yukino singun 1900.jpg|thumb|1900년 《눈의 진군》 [[악보]]]]
나가이 켄시는 청일전쟁 제2군 군악대의 군악차장으로 출정해, [[여순전투]]와 [[위해전투]]를 돌아다녔다. 위해전투에 참가했을 때의 경험과 주변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작곡하였다. 이 당시 중국 전장에 있던 일본군들은 눈속에서 배고픔과 추위에 시달려야 했기에, 나가이는 그 모습을 빠짐없이 관찰해 작곡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1895년 8월 《음악잡지》(音楽雑誌) 52호에 실려 처음 출간되었고, 그해 10월에는 《대동군가》 꽃권(大東軍歌 花の巻)에 실려 군가로 인정되었다{{Sfn|長谷川외|2009|p=25}}{{Sfn|小村|2011|pp=132-135}}.  


가사는 문학작품에서도 구어체 서술이 저어되던 시점이었던 것과 달리 이른바 언문일치체로 쓰여져 있었다{{Sfn|堀内|1969}}. 또한 당시의 군가는 전의 고양을 위한 내용이 많았던 반면, 군인의 고생과 불만을 적나라하게 다룬 것은 이 곡이 처음이다{{Sfn|小村|2011|pp=132-135}}. 이에 대해 하세가와 등은 당시 군가가 전쟁 전황 등을 서술하는 ‘보도매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고 서술하고 있다{{Sfn|長谷川외|2009|p=22}}. 곡은 장병들 사이에 빠르게 퍼져 애창되었으며, 문부성도 이 노래를 승인하여 [[용감한 수병]]을 포함한 창가 교과서의 수록곡으로 채택하였다{{sfn|浅野|1968|p=87}}. 당시 사령관이던 오오야마 이야오(大山巌)는 이 곡을 좋아해 죽기 직전까지 병상에서 노래 음반을 들었다고 한다{{Sfn|堀内|1969}}. 이 곡을 시점으로 《[[전우/Gm]]》{{s|戦友}} 《[[무츠의 눈보라]]》{{s|陸奥の吹雪}} 등 군인의 생활을 다룬 군가도 지속적으로 나왔다.


그러나 오랫동안 애창되던 군가는 [[쇼와]] 시대에 들어서 ‘용감하지 않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4절의 마지막 줄의 ‘生かして還さぬ積り’(산 채로는 돌아가지 못할 예정)를 ‘生きては還さぬ積り‘(살아서는 돌아가지 않을 예정)으로 바꿨으며, [[세계2차대전]] 시기에는 금지곡이 되었으나 여전히 군인 사이에서는 애창곡이 되었다.


=== 음가 변화 ===
=== 음가 변화 ===
원 작곡에는 파가 두번 들어가 있다. 7마디에 ‘<u>미미파미</u>레도’, 9마디에 ‘솔솔-파’인데, 시간이 지나면서 이 부분의 파를 미로 부르게 되어, 점차 [[요나누키]](즉 5음계) 장조 곡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원래 노래는 4/4로 작곡되어 있었는데, 점차 빠르게 부르며 2/4화 되면서 자연스럽게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 가사 ==
== 가사 ==
가사는 1911년 가사를 바탕으로 19세기 말의 이체를 포함하였다.
가사는 1911년 《군가걸작집》 가사를 바탕으로 19세기 말의 이체를 포함하였다.
{| style=
{| style="line-height: 185%;"
|-
|-
! style="text-align:left;" | 역사적 가나
! style="text-align:left;" | 역사적 가나
17번째 줄: 22번째 줄:
! style="text-align:left;" | 현재 발음
! style="text-align:left;" | 현재 발음
! style="text-align:left;" | 한국어 번역
! style="text-align:left;" | 한국어 번역
|- style="vertical-align: top;"
|-  
| style="padding: 0 15px 0 0px;" |<poem>{{Ruby-ja|雪|ゆき}}の{{Ruby-ja|進軍|シングン}} {{Ruby-ja|氷|こほり}}を{{Ruby-ja|踏|ふ}}んで
|<poem>{{Ruby-ja|雪|ゆき}}の{{Ruby-ja|進軍|シングン}} {{Ruby-ja|氷|こほり}}を{{Ruby-ja|踏|ふ}}んで
{{Ruby-ja|何處|どこ}}が{{Ruby-ja|河|かは}}やら {{Ruby-ja|道|みち}}さへ(ゑ){{Ruby-ja|知|し}}れず(ぬ){{Sfn|後藤|1898|p=75}}
{{Ruby-ja|何處|どこ}}が{{Ruby-ja|河|かは}}やら {{Ruby-ja|道|みち}}さへ(ゑ){{Ruby-ja|知|し}}れず(ぬ){{Sfn|後藤|1898|p=75}}
{{Ruby-ja|馬|うま}}は{{Ruby-ja|斃|たふ}}れる {{Ruby-ja|捨|す}}てゝもおけず(ぬ){{Sfn|後藤|1898|p=75}}
{{Ruby-ja|馬|うま}}は{{Ruby-ja|斃|たふ}}れる {{Ruby-ja|捨|す}}てゝもおけず(ぬ){{Sfn|後藤|1898|p=75}}
{{Ruby-ja|此處|こゝ}}は{{Ruby-ja|何處|いづこ}}ぞ {{Ruby-ja|皆|みな}}{{Ruby-ja|敵|テキ}}の{{Ruby-ja|國|くに}}
{{Ruby-ja|此處|こゝ}}(爰){{Sfn|中村|1900|p=15}}は{{Ruby-ja|何處|いづこ}}ぞ {{Ruby-ja|皆|みな}}{{Ruby-ja|敵|テキ}}の{{Ruby-ja|國|くに}}
{{Ruby-ja|儘|まゝ}}よ{{Ruby-ja|大膽|ダイタン}} {{Ruby-ja|一服|イップク}}やれば
{{Ruby-ja|儘|まゝ}}よ{{Ruby-ja|大膽|ダイタン}} {{Ruby-ja|一服|イップク}}やれば
{{Ruby-ja|頼|たの}}み{{Ruby-ja|少|すく}}なや {{Ruby-ja|煙草|たばこ}}(卷莨){{Sfn|後藤|1898|p=75}}が{{Ruby-ja|二本|ニホン}}</poem>
{{Ruby-ja|頼|たの}}み{{Ruby-ja|少|すく}}なや {{Ruby-ja|煙草|たばこ}}(卷莨){{Sfn|後藤|1898|p=75}}が{{Ruby-ja|二本|ニホン}}</poem>
| style="padding: 0 20px 0 0px;" |<poem>{{Ruby-ja|雪|ゆき}}の{{Ruby-ja|進軍|しんぐん}}{{Ruby-ja|氷|こおり}}を{{Ruby-ja|踏|ふ}}んで
|<poem>{{Ruby-ja|雪|ゆき}}の{{Ruby-ja|進軍|しんぐん}}{{Ruby-ja|氷|こおり}}を{{Ruby-ja|踏|ふ}}んで
どれが{{Ruby-ja|河|かわ}}やら{{Ruby-ja|道|みち}}さえしれず
どれが{{Ruby-ja|河|かわ}}やら{{Ruby-ja|道|みち}}さえしれず
{{Ruby-ja|馬|うま}}は{{Ruby-ja|斃|たお}}れる{{Ruby-ja|捨|す}}ててもおけず
{{Ruby-ja|馬|うま}}は{{Ruby-ja|斃|たお}}れる{{Ruby-ja|捨|す}}ててもおけず
30번째 줄: 35번째 줄:
ままよ{{Ruby-ja|大胆|だいたん}}{{Ruby-ja|一服|いっぷく}}やれば
ままよ{{Ruby-ja|大胆|だいたん}}{{Ruby-ja|一服|いっぷく}}やれば
{{Ruby-ja|頼|たの}}み{{Ruby-ja|少|すく}}なや{{Ruby-ja|煙草|タバコ}}が{{Ruby-ja|二本|にほん}}</poem>
{{Ruby-ja|頼|たの}}み{{Ruby-ja|少|すく}}なや{{Ruby-ja|煙草|タバコ}}が{{Ruby-ja|二本|にほん}}</poem>
| style="line-height: 192%; padding: 0 20px 0 0px;" |<poem>유키노 신군 코-리오 후ㄴ데
|<poem>유키노 신군 코-리오 후ㄴ데
도코가 카와야라 미치사에 시레즈
도코가 카와야라 미치사에 시레즈
우마와 타오레루 스테테모 오케즈
우마와 타오레루 스테테모 오케즈
36번째 줄: 41번째 줄:
마마요 다이타ㄴ 잇푸쿠 야레바
마마요 다이타ㄴ 잇푸쿠 야레바
타노미 스쿠나야 타바코가 니호ㄴ</poem>
타노미 스쿠나야 타바코가 니호ㄴ</poem>
| style="line-height: 192%;"  |<poem>눈 위를 진군 얼음을 밟아가며
|<poem>눈 위를 진군 얼음을 밟아가며
어디가 강인지 길인지도 모른 채
어디가 강인지 길인지도 모른 채
말들이 쓰러지나 버리지도 못하네
말들이 쓰러지나 버리지도 못하네
42번째 줄: 47번째 줄:
될 대로 되라면서 한 개비 피우니
될 대로 되라면서 한 개비 피우니
기대도 하지 않던 남은 담배 두 개비</poem>
기대도 하지 않던 남은 담배 두 개비</poem>
|-style="vertical-align: top;"
|-
|<poem>{{Ruby-ja|燒|や}}かぬ{{Ruby-ja|乾魚|ひもの}}に {{Ruby-ja|半|ハン}}{{Ruby-ja|煮|に}}(ゑ){{Sfn|新井|1898|p=18}}{{Ruby-ja|飯|めし}}に
|<poem>{{Ruby-ja|燒|や}}かぬ{{Ruby-ja|乾魚|ひもの}}に {{Ruby-ja|半|ハン}}{{Ruby-ja|煮|に}}(ゑ){{Sfn|新井|1898|p=18}}{{Ruby-ja|飯|めし}}に
なまじ{{Ruby-ja|生命|いのち}}の ある{{Ruby-ja|其|そ(の)}}{{Sfn|新井|1898|p=18}}{{Ruby-ja|内|うち}}は
{{Ruby-ja|憖|なまじ}}{{Ruby-ja|生命|いのち}}の ある{{Ruby-ja|其|そ(の)}}{{Sfn|新井|1898|p=18}}{{Ruby-ja|内|うち}}は
{{Ruby-ja|堪|こら}}へ(ゑ){{Sfn|新井|1898|p=18}}{{Ruby-ja|切|き}}れない {{Ruby-ja|寒|さむ}}さの(に){{Sfn|後藤|1898|p=75}}{{Ruby-ja|焚火|たきび}}
{{Ruby-ja|堪|こら}}へ(ゑ){{Sfn|新井|1898|p=18}}{{Ruby-ja|切|き}}れない {{Ruby-ja|寒|さむ}}さの(に){{Sfn|後藤|1898|p=75}}{{Ruby-ja|焚火|たきび}}
{{Ruby-ja|煙|けぶ}}い{{Ruby-ja|筈|はず}}だよ {{Ruby-ja|生木|なまき}}が(か){{Sfn|新井|1898|p=19}}{{Ruby-ja|燻|いぶ}}る
{{Ruby-ja|煙|けぶ}}い{{Ruby-ja|筈|はず}}だよ {{Ruby-ja|生木|なまき}}が(か){{Sfn|新井|1898|p=19}}{{Ruby-ja|燻|いぶ}}る
{{Ruby-ja|澁|しぶ}}い{{Ruby-ja|顏|かほ}}して {{Ruby-ja|功名|コウミョウ}}{{Ruby-ja|談|ばなし}}(はなし){{Sfn|後藤|1898|p=75}}{{Sfn|新井|1898|p=19}}
{{Ruby-ja|澁|しぶ}}い{{Ruby-ja|顏|かほ}}して {{Ruby-ja|功名|かうみやう}}{{Sfn|中村|1900|p=16}}{{Ruby-ja|談|ばなし}}(はなし){{Sfn|後藤|1898|p=75}}{{Sfn|新井|1898|p=19}}
「すい」と{{Ruby-ja|云|い}}ふのは {{Ruby-ja|梅干|うめぼ}}(し){{Sfn|後藤|1898|p=75}}{{Ruby-ja|一|ひと}}つ</poem>
「すい」と{{Ruby-ja|云|い}}ふのは {{Ruby-ja|梅干|うめぼ}}(し){{Sfn|後藤|1898|p=75}}{{Ruby-ja|一|ひと}}つ</poem>
|<poem>{{Ruby-ja|焼|や}}かぬ{{Ruby-ja|乾魚|ひもの}}に{{Ruby-ja|半|はん}}{{Ruby-ja|煮|に}}え{{Ruby-ja|飯|めし}}に
|<poem>{{Ruby-ja|焼|や}}かぬ{{Ruby-ja|乾魚|ひもの}}に{{Ruby-ja|半|はん}}{{Ruby-ja|煮|に}}え{{Ruby-ja|飯|めし}}に
55번째 줄: 60번째 줄:
{{Ruby-ja|渋|しぶ}}い{{Ruby-ja|顔|かお}}して{{Ruby-ja|巧妙|こうみょう}}{{Ruby-ja|噺|ばなし}}
{{Ruby-ja|渋|しぶ}}い{{Ruby-ja|顔|かお}}して{{Ruby-ja|巧妙|こうみょう}}{{Ruby-ja|噺|ばなし}}
「{{Ruby-ja|酸|す}}い」というのは{{Ruby-ja|梅干|うめぼし}}{{Ruby-ja|一|ひと}}つ</poem>
「{{Ruby-ja|酸|す}}い」というのは{{Ruby-ja|梅干|うめぼし}}{{Ruby-ja|一|ひと}}つ</poem>
| style="line-height: 192%;" |<poem>야카누 히모노니 하ㄴ니에 메시니
|<poem>야카누 히모노니 하ㄴ니에 메시니
나마지 이노치노 아루소노 우치와
나마지 이노치노 아루소노 우치와
코라에 키레나이 사무사노 타키비
코라에 키레나이 사무사노 타키비
61번째 줄: 66번째 줄:
시부이 카오시테 코-묘- 바나시
시부이 카오시테 코-묘- 바나시
스이토 이우노와 우메보시 히토츠</poem>
스이토 이우노와 우메보시 히토츠</poem>
| style="line-height: 192%;"  |<poem>안데운 건어물에 설익은 밥 먹네
|<poem>안데운 건어물에 설익은 밥 먹네
어중간한 목숨이 붙어있는 동안엔
어중간한 목숨이 붙어있는 동안엔
견뎌낼 수가 없는 추위에는 모닥불
견뎌낼 수가 없는 추위에는 모닥불
연기만 날 수밖에 생나무를 태우니
연기만 날 수밖에 생나무를 태우니
떨떠름 얼굴 표정 늘어놓는 참전담
떨떠름한 표정에 늘어놓는 참전담
“아이 셔” 하게 하는 매실장아찌 한 </poem>
“아이 셔” 말 꺼내는 매실장아찌 한 </poem>
|-style="vertical-align: top;"
|-
|<poem>{{Ruby-ja|着|き}}の{{Ruby-ja|身|み}}{{Ruby-ja|着|き}}のまゝ {{Ruby-ja|氣樂|キラク}}な{{Ruby-ja|臥所|ふしど}}
|<poem>{{Ruby-ja|着|き}}の{{Ruby-ja|身|み}}{{Ruby-ja|着|き}}のまゝ(儘){{Sfn|新井|1898|p=19}} {{Ruby-ja|氣樂|キラク}}な{{Ruby-ja|臥所|ふしど}}
{{Ruby-ja|背嚢|ハイノウ}}{{Ruby-ja|枕|まくら}}に {{Ruby-ja|外套|ガイトウ}}{{Ruby-ja|被|かぶ}}りゃ
{{Ruby-ja|背嚢|ハイノウ}}{{Ruby-ja|枕|まくら}}に {{Ruby-ja|外套|グワイタウ}}{{Ruby-ja|被|かぶ}}りゃ
{{Ruby-ja|背|せな}}の{{Ruby-ja|温|ぬく}}みで{{Ruby-ja|雪|ゆき}}{{Ruby-ja|融|と}}け{{Ruby-ja|掛|かゝ}}る
{{Ruby-ja|背|せな}}の{{Ruby-ja|温|ぬく}}み(暧){{Sfn|新井|1898|p=19}}で{{Ruby-ja|雪|ゆき}}{{Ruby-ja|融|と}}(){{Sfn|新井|1898|p=19}}{{Ruby-ja|掛|かゝ}}る
{{Ruby-ja|夜具|ヤグ}}の{{Ruby-ja|黍殻|きびがら}} シッポリ{{Ruby-ja|濡|ぬ}}れて
{{Ruby-ja|夜具|ヤグ}}の{{Ruby-ja|黍殻|きびがら}} シツポリ{{Sfn|新井|1898|p=19}}{{Sfn|中村|1900|p=17}}{{Ruby-ja|濡|ぬ}}れて
{{Ruby-ja|結|むす}}び{{Ruby-ja|兼|か}}ねたる {{Ruby-ja|露營|ロエイ}}の{{Ruby-ja|夢|ゆめ}}を
{{Ruby-ja|結|むす}}び{{Ruby-ja|兼|か}}ねたる {{Ruby-ja|露營|ロヱイ}}{{Sfn|中村|1900|p=17}}の{{Ruby-ja|夢|ゆめ}}を
{{Ruby-ja|月|つき}}は{{Ruby-ja|冷|つめ}}たく{{Ruby-ja|顏|かほ}}{{Ruby-ja|覗|のぞ}}き{{Ruby-ja|込|こ}}む</poem>
{{Ruby-ja|月|つき}}は{{Ruby-ja|冷|つめ}}たく {{Ruby-ja|顏|かほ}}{{Ruby-ja|覗|のそ}}{{Sfn|中村|1900|p=17}}き{{Ruby-ja|込|こ}}む</poem>
|<poem>{{Ruby-ja|着|き}}の{{Ruby-ja|身|み}}{{Ruby-ja|着|き}}のまま{{Ruby-ja|気楽|きらく}}な{{Ruby-ja|臥所|ふしど}}
|<poem>{{Ruby-ja|着|き}}の{{Ruby-ja|身|み}}{{Ruby-ja|着|き}}のまま{{Ruby-ja|気楽|きらく}}な{{Ruby-ja|臥所|ふしど}}
{{Ruby-ja|背嚢|はいのう}}{{Ruby-ja|枕|まくら}}に{{Ruby-ja|外套|がいとう}}{{Ruby-ja|被|かぶ}}りゃ
{{Ruby-ja|背嚢|はいのう}}{{Ruby-ja|枕|まくら}}に{{Ruby-ja|外套|がいとう}}{{Ruby-ja|被|かぶ}}りゃ
80번째 줄: 85번째 줄:
{{Ruby-ja|結|むす}}びかねたる{{Ruby-ja|露営|ろえい}}の{{Ruby-ja|夢|ゆめ}}を
{{Ruby-ja|結|むす}}びかねたる{{Ruby-ja|露営|ろえい}}の{{Ruby-ja|夢|ゆめ}}を
{{Ruby-ja|月|つき}}は{{Ruby-ja|冷|つめ}}たく{{Ruby-ja|顔|かお}}{{Ruby-ja|覗|のぞ}}き{{Ruby-ja|込|こ}}む</poem>
{{Ruby-ja|月|つき}}は{{Ruby-ja|冷|つめ}}たく{{Ruby-ja|顔|かお}}{{Ruby-ja|覗|のぞ}}き{{Ruby-ja|込|こ}}む</poem>
|
|<poem>키노미 키노마마 키라쿠나 후시도
|
하이노- 마쿠라니 가이토- 카부랴
세나노 누쿠미데 유키토 케카카루
야구노 키비가라 싯포리 누레테
무스비 카네타루 로에이노 유메오
츠키와 츠메타쿠 카오 노조키코무</poem>
|<poem>입던 옷 그대로 속 편하게 누워서
배낭을 베개 삼고 외투를 이불 삼자
등의 온기로 눈이 녹기 시작하네
침대용 지푸라기 흥건하게 젖으니
맺어지지가 않는 야영지의 꿈 속을
달님은 냉정한 낯으로 내려보네</poem>
|-
|<poem>{{Ruby-ja|命|いのち}}{{Ruby-ja|捧|さゝ}}げて {{Ruby-ja|出|で}}て{{Ruby-ja|來|き}}た{{Ruby-ja|身|み}}{{Ruby-ja|故|ゆゑ}}
{{Ruby-ja|死|し}}(ぬ)る{{Ruby-ja|覺悟|カクゴ}}で {{Ruby-ja|突喊|トッカン}}すれど
{{Ruby-ja|武運|ブウン}}{{Ruby-ja|拙|つたな}}く {{Ruby-ja|討|う}}(ち){{Ruby-ja|死|じ}}(に){{Sfn|新井|1898|p=19}}{{Sfn|中村|1900|p=17}}せねば
{{Ruby-ja|義理|ギリ}}に{{Ruby-ja|絡|から}}めた {{Ruby-ja|恤兵|じ(ゆ)つペイ}}{{Sfn|新井|1898|p=19}}{{Sfn|中村|1900|p=17}}{{Ruby-ja|眞緜|まわた}}
そろりそろり(鼠栗鼠栗){{Sfn|新井|1898|p=19}}と
{{Ruby-ja|首|くび}}{{Ruby-ja|締|し}}(め){{Ruby-ja|掛|かゝ}}(懸){{Sfn|新井|1898|p=19}}る
どうせ{{Ruby-ja|生|い}}(か)して {{Ruby-ja|還|かへ}}(さ)ぬ{{Ruby-ja|積|つ}}(も)り{{Sfn|新井|1898|p=19}}</poem>
|<poem>{{Ruby-ja|命|いのち}}{{Ruby-ja|捧|ささ}}げて{{Ruby-ja|出|で}}てきた{{Ruby-ja|身|み}}ゆえ
{{Ruby-ja|死|し}}ぬる{{Ruby-ja|覚悟|かくご}}で{{Ruby-ja|吶喊|とっかん}}{{Sfn|新井|1898|p=19}}すれど
{{Ruby-ja|武運|ぶうん}}{{Ruby-ja|拙|つたな}}く{{Ruby-ja|討死|うちじ}}にせねば
{{Ruby-ja|義理|ぎり}}にからめた{{Ruby-ja|恤兵|じゅっぺい}}{{Ruby-ja|真綿|まわた}}
そろりそろりと
{{Ruby-ja|頚|くび}}{{Ruby-ja|締|し}}めかかる
どうせ{{Ruby-ja|生|い}}かして{{Ruby-ja|還|かえ}}さぬ{{Ruby-ja|積|つ}}もり</poem>
|<poem>이노치 사사게테 데테키타 미유에
시누루 카쿠고데 톳칸스레도
부우ㄴ 츠타나쿠 우치지니 세네바
기리니 카라메타 쥿페이마와타
소로리 소로리토
쿠비시메 카카루
도우세 이카시테 카에사누 츠모리</poem>
|<poem>목숨을 바치려고 나온 몸인 이상엔
죽겠단 각오로 돌격하지만
무운이 나빠서 전사하지 못하면
의리로 묶어놓은 위문용 솜옷이
슬며시 슬며시
목을 졸라 오겠지
어차피 산채로는 돌아가지 못하니</poem>
|}
|}


== 미디어 활용 ==
== 미디어 활용 ==
* [[걸즈앤 판처]] 9화와 극장판에 인용 수록되었다.  
* [[이누가미 일족]] 1977년 드라마 극중에 인용되었다.
* [[걸즈앤 판처]] 9화에서 오-아라이 여학원 학생들이 프라우다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포위되어 있는 상황에서 정찰 중에 부른다. 극장판에도 인용 수록되었다<ref>{{책 인용|제목=るるぶガールズ&パンツァー|출판사=JTBパブリッシング|년도=2015|ISBN=978-4-533-10534-0}}</ref>.  


== 함께 부르면 좋은 노래 ==
== 함께 부르면 좋은 노래 ==
;대중가요
;
* [[통일행진곡]]


== 주 ==
== 주 ==
94번째 줄: 143번째 줄:
== 참고문헌 ==
== 참고문헌 ==
* {{저널 인용|저자=李有姫(이유희)|제목=明治・昭和軍歌にみる近代的特徴 : 楽曲・テーマ・言語表現を中心に(메이지·쇼와 군가에서 보이는 근대적 특징 - 악곡, 테마, 언어표현을 중심으로)|doi=10.18910/61833|날짜=2017-03-22|url=https://ir.library.osaka-u.ac.jp/repo/ouka/all/61833/|출판사=[[오사카대학]] 박사학위 논문|ref=CITEREF.EC.9D.B4.EC.9C.A0.ED.9D.AC2017}}
* {{저널 인용|저자=李有姫(이유희)|제목=明治・昭和軍歌にみる近代的特徴 : 楽曲・テーマ・言語表現を中心に(메이지·쇼와 군가에서 보이는 근대적 특징 - 악곡, 테마, 언어표현을 중심으로)|doi=10.18910/61833|날짜=2017-03-22|url=https://ir.library.osaka-u.ac.jp/repo/ouka/all/61833/|출판사=[[오사카대학]] 박사학위 논문|ref=CITEREF.EC.9D.B4.EC.9C.A0.ED.9D.AC2017}}
* {{저널 인용|저자=浅野常七|제목=我が国唱歌教育の変遷|저널=駒沢女子短期大学 研究紀要|연도=1968|doi=10.18998/00000028|ref=CITEREF.E6.B5.85.E9.87.8E1968|권=2|쪽=85-92|url=https://komajo.repo.nii.ac.jp/?action=pages_view_main&active_action=repository_view_main_item_detail&item_id=34&item_no=1&page_id=13&block_id=21}}
* {{책 인용|저자=小村公次|제목=徹底検証・日本の軍歌 : 戦争の時代と音楽|출판사=学習の友社|날짜=2011-03|ISBN=978-4-7617-0671-5|ref=CITEREF小村2011|언어고리=ja}}
* {{책 인용|저자=小村公次|제목=徹底検証・日本の軍歌 : 戦争の時代と音楽|출판사=学習の友社|날짜=2011-03|ISBN=978-4-7617-0671-5|ref=CITEREF小村2011|언어고리=ja}}
* {{저널 인용|저자=長谷川由美子, 綿抜豊昭|url=https://tsukuba.repo.nii.ac.jp/records/18572|제목=「明治時代出版「軍歌集」にみる軍歌の変遷について」|저널=『図書館情報メディア研究』|권=7|호=1|출판사=『図書館情報メディア研究』編集委員会|쪽=17-25|날짜=2009-10-30|doi=10.15068/00131194|ref=CITEREF.E9.95.B7.E8.B0.B7.E5.B7.9D.EC.99.B82009}}
* {{저널 인용|저자=長谷川由美子, 綿抜豊昭|url=https://tsukuba.repo.nii.ac.jp/records/18572|제목=「明治時代出版「軍歌集」にみる軍歌の変遷について」|저널=『図書館情報メディア研究』|권=7|호=1|출판사=『図書館情報メディア研究』編集委員会|쪽=17-25|날짜=2009-10-30|doi=10.15068/00131194|ref=CITEREF.E9.95.B7.E8.B0.B7.E5.B7.9D.EC.99.B82009}}
* {{책 인용|언어고리=ja|저자=堀内敬三|제목=定本 日本の軍歌|출판사=実業之日本社|날짜=1969-09||ref=CITEREF堀内1969}}
* {{책 인용|언어고리=ja|저자=堀内敬三|제목=定本 日本の軍歌|출판사=実業之日本社|날짜=1969-09||ref=CITEREF堀内1969}}
* {{책 인용|날짜=1898-10|저자=後藤露渓|제목=明笛独習|출판사=又間精華堂|url=https://dl.ndl.go.jp/info:ndljp/pid/856139|ref=CITEREF後藤1898|언어고리=ja}}
* {{책 인용|날짜=1898-10|저자=後藤露渓|제목=明笛独習|출판사=又間精華堂|url=https://dl.ndl.go.jp/info:ndljp/pid/856139|ref=CITEREF後藤1898|언어고리=ja|doi=10.11501/856139}}
* {{책 인용|날짜=1898-10|저자=新井省五郎|제목=手風琴独まなび. 下の巻|출판사=十字屋|url=https://dl.ndl.go.jp/info:ndljp/pid/854961|ref=CITEREF新井1898|언어고리=ja}}
* {{책 인용|날짜=1898-10-04|판=개정증보3판|저자=新井省五郎|제목=手風琴独まなび 下の巻|출판사=十字屋|url=https://dl.ndl.go.jp/info:ndljp/pid/854961|ref=CITEREF新井1898|언어고리=ja|doi=10.11501/854961}}
* {{책 인용|제목=日東軍歌. 第2集|저자=中村林松|doi=10.11501/855649|url=https://dl.ndl.go.jp/info:ndljp/pid/855649|출판사=東崖堂|언어고리=ja|날짜=1900-09-30|ref=CITEREF中村1900}}
 
== 바깥고리 ==
* {{언어고리|ja}} {{Youtube|Nw2FQYKy7lU|제목=軍歌 雪の進軍}}


{{JWP|雪の進軍}}
{{JWP|雪の進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