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체화: 두 판 사이의 차이

2,396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10월 10일 (화)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23번째 줄: 23번째 줄:
누스바움은 여성의 성적대상화에 대한 윤리적 영향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규범 개념이 되는 객체화에 대한 사람들의 이해가 너무 단순하다고 본다. 이에 누스바움은 객체화 개념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하위개념을 제시, 검증하며 이를 성과 관련된 다른 상황에서의 유순하거나 위험한 형태들과 구분하는 것을 연구목표로 삼았다{{Sfn|Nussbaum|1995}}. 더 나아가 누스바움은 객체화 개념이 그동안 논의되어 온 섹슈얼리티 뿐만이 아니라 맑시스트들의 자본주의와 노예제에 대한 관점에 있어서도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누스바움은 모든 객체화가 부정적 행위를 일으키는 것은 아니며, 앞서 제시된 일곱가지 중 하나가 작동한다고 하더라도 객체화가 드러나지 않을 수 있다고 보았다{{Sfn|Nussbaum|1995}}.
누스바움은 여성의 성적대상화에 대한 윤리적 영향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규범 개념이 되는 객체화에 대한 사람들의 이해가 너무 단순하다고 본다. 이에 누스바움은 객체화 개념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하위개념을 제시, 검증하며 이를 성과 관련된 다른 상황에서의 유순하거나 위험한 형태들과 구분하는 것을 연구목표로 삼았다{{Sfn|Nussbaum|1995}}. 더 나아가 누스바움은 객체화 개념이 그동안 논의되어 온 섹슈얼리티 뿐만이 아니라 맑시스트들의 자본주의와 노예제에 대한 관점에 있어서도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누스바움은 모든 객체화가 부정적 행위를 일으키는 것은 아니며, 앞서 제시된 일곱가지 중 하나가 작동한다고 하더라도 객체화가 드러나지 않을 수 있다고 보았다{{Sfn|Nussbaum|1995}}.


[[캐서린 맥키넌]]과 [[안드레아 드워킨]]은 칸트의 이해를 채택헤 성의 선천적인 객체화 경향을 인정하지만 객체화의 관여자는 객체화수행자이면서도 객체화되는 대상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남성과 여성이 각각 섹슈얼리티를 표현하는 방식이 더 넓은 사회문화적 맥락에 의해 틀지어져 있고 남여간 권력이 평등하지 않기 때문에, 남성과 여성의 객체화가 불균형적이라고 주장했다.  
[[캐서린 맥키넌]]{{s|Mackinnon}}과 [[안드레아 드워킨]]{{s|Dworkin}}은 칸트의 이해를 채택헤 성의 선천적인 객체화 경향을 인정하지만 객체화의 관여자는 객체화수행자이면서도 객체화되는 대상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남성과 여성이 각각 섹슈얼리티를 표현하는 방식이 더 넓은 사회문화적 맥락에 의해 틀지어져 있고 남여간 권력이 평등하지 않기 때문에, 남성과 여성의 객체화가 불균형적이라고 주장했다. 섹슈얼리티를 표현할 때 남성의 경우 여성을 객체화해 지배화하는 방식을 표출하는 반면 여성은 이를 객체화되거나 자기객체화{{s|Self-objectification}}하는 순종적 방식으로 표출한다. 이 때 여성은 폭력성에 더욱 취약하지며 주체성과 자율성을 잃는다. 이에 대해 누스바움은 맥키넌과 드워킨이 윤리적으로 동등하게 중요한 개인사나 심리학 등을 무시한다며 남-여 섹슈얼리티를 더욱 거시적 관점에서 봐야 한다고 주장한다.


<!-- Men express their sexuality in a dominant way by objectifying women while women express their sexuality in a submissive way by being objectified or by self-objectifying. Hence, women are more vulnerable to violability and lack of subjectivity and autonomy. Nussbaum argues that it is important to put male-female sexuality in a more macro-perspective in which[clarification needed] Mackinnon and Dworkin ignore the personal histories and psychologies that are equally morally important.[1]-->
[[남성적 응시]]는 자기객체화의 주요 구현요소 중 하나이다. 특히 [[소셜미디어]]가 여성의 자기객체화를 크게 밀어붙인다는 주장이 있다. 여성은 [[다른이]]의 시선을 내면화하며, 따라서 바깥의 시선을 내면적으로 받아들이기 시작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소셜미디어에 올리기 위해 셀카 사진을 찍을 때 여성은 남성적 응시적 관점을 유형화한 카매라 각도를 취한다{{Sfn|Cohen|Newton-John|Slater|2018}}.
 
<!--
The comment section enables the self-objectification more, by letting people shame or praise the picture.[4] The likes and shares bring a sense of validation to women who post these selfies.[4]
-->
 
== 페미니즘의 객체화 이론 ==
 
<!-- The objectification theory as proposed by Barbara Fredrickson and Tomi-Ann Roberts states that the objectification of a woman or a girl can eventually lead to an increased feeling of anxiety or self-awareness. The woman supposedly immediately internalizes the status that the society has given to her and sees this outcome as a primary view of herself.
 
Fredrickson and Roberts argue that in some way, the objectification of women can even affect the mental health of the female.[5] The perspective of the public imposed on the female body can lead to body monitoring and obsessive eating patterns which will eventually lead into an internal feeling of shame or anxiety. Fredrickson and Roberts argue that influences from the new wave feminists and scholars have put the female body in a sociocultural perspective. This has emphasised the sociocultural representation of the female body over the biological role. They argue that the one should not be overshadowed by the other, as it is the combined effect that has created a social construction behind the body image.-->


== 다른 학문에서의 사용 ==
== 다른 학문에서의 사용 ==
39번째 줄: 49번째 줄:
== 참고문헌 ==
== 참고문헌 ==
* {{저널 인용 |성 = Nussbaum|이름 = Martha C.|title = Objectification|jstor = 2961930|journal = ''Philosophy & Public Affairs''|date = 1995|volume = 24|issue = 4|pages = 249–291|doi = 10.1111/j.1088-4963.1995.tb00032.x|ref=CITEREFNussbaum1995}}
* {{저널 인용 |성 = Nussbaum|이름 = Martha C.|title = Objectification|jstor = 2961930|journal = ''Philosophy & Public Affairs''|date = 1995|volume = 24|issue = 4|pages = 249–291|doi = 10.1111/j.1088-4963.1995.tb00032.x|ref=CITEREFNussbaum1995}}
* {{책 인용 |장=Feminist Perspectives on Objectification|성=Papadaki|이름 Evangelia L.|title=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Spring 2021 Edition)|편집자=Edward N. Zalta |장고리=https://plato.stanford.edu/entries/feminism-objectification/|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210613144433/https://plato.stanford.edu/entries/feminism-objectification/|보존일자=2021-06-13|ref=CITEREFPapadaki2021}}
* {{책 인용 |장=Feminist Perspectives on Objectification|성=Papadaki|이름= Evangelia L.|title=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Spring 2021 Edition)|편집자=Edward N. Zalta |날짜=2019-12-16 |장고리=https://plato.stanford.edu/entries/feminism-objectification/|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210613144433/https://plato.stanford.edu/entries/feminism-objectification/|보존일자=2021-06-13|ref=CITEREFPapadaki2021}}
* {{저널 인용|성=Papadaki|이름= Evangelia|날짜=2007-08-01|제목=Sexual Objectification|저널=From Kant to Contemporary Feminism|권=6|호=3|쪽=49–68|doi=10.1057/palgrave.cpt.9300282|S2CID=144197352|REF=CITEREFPapadaki2017}}
* {{저널 인용|성=Papadaki|이름=Evangelia|날짜=2007-08-01|제목=Sexual Objectification|저널=From Kant to Contemporary Feminism|권=6|호=3|쪽=49–68|doi=10.1057/palgrave.cpt.9300282|S2CID=144197352|REF=CITEREFPapadaki2017}}
* {{저널 인용|성=Cohen|이름1=Rachel|성2=Newton-John|이름2=Toby|성3=Slater|이름3=Amy|date=2018-02|title='Selfie'-objectification: The role of selfies in self-objectification and disordered eating in young women|url=https://linkinghub.elsevier.com/retrieve/pii/S0747563217306003|journal=Computers in Human Behavior|언어고리=en|volume=79|pages=68–74|doi=10.1016/j.chb.2017.10.027|ref=CITEREFCohenNewton-JohnSlater2018}}


{{번역중|Objectification}}
{{번역중|Object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