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사: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다른 뜻 2|[[오키나와]]의 전통 무용|레이더 유형|AESA 레이더}} | {{다른 뜻 2|[[오키나와]]의 전통 무용|레이더 유형|AESA 레이더}} | ||
'''에이사-'''({{ja-y|エイサー}})는 [[오키나와]]와 [[아마미군도]]에서 [[오봉]] 때 조상의 위안을 비는 등 제사적 목적으로 생겨난 전통 무용이다. 지역에 따라 난사-, 엔사-, 7월무({{ja-y2|七月舞|しちぐゎちもーい|시치과치모-이}}, 닌부치마-이({{ja-y2|念仏廻り|にんぶちまーい}}) 등으로도 불린다{{Sfn|遠藤|2019|p=60}}. 현대에는 소고와 [[사미센]] 등의 연주를 결합한 오키나와 대표의 전통예능이 되었다. [[소-란]]보다도 앞서 [[오키나와 전섬 에이사-축제]] 등을 중심으로 한 지역 | '''에이사-'''({{ja-y|エイサー}})는 [[오키나와]]와 [[아마미군도]]에서 [[오봉]] 때 조상의 위안을 비는 등 제사적 목적으로 생겨난 전통 무용이다. 지역에 따라 난사-, 엔사-, 7월무({{ja-y2|七月舞|しちぐゎちもーい|시치과치모-이}}, 닌부치마-이({{ja-y2|念仏廻り|にんぶちまーい}}) 등으로도 불린다{{Sfn|遠藤|2019|p=60}}. 현대에는 소고와 [[사미센]] 등의 연주를 결합한 오키나와 대표의 전통예능이 되었다. [[소-란]]보다도 앞서 [[오키나와 전섬 에이사-축제]] 등을 중심으로 한 지역 이벤트를 중심으로 재구되었으며{{Sfn|Johnson|2008|p=196}}, 지역 청년회나 대학교 별로 동아리가 조직돼 오키나와와 일본의 청년 등을 묶는 계기로 활용되고 있다{{Sfn|진필수|2010}}. | ||
== 유래 == | == 유래 == | ||
27번째 줄: | 27번째 줄: | ||
* {{저널 인용|언어고리=ja|저자=遠藤美奈|날짜=2019-03-31|제목=戦前の沖縄における「エイサー」と 「盆踊り」の諸相-|저널=沖縄芸術の科学|출판사=沖縄県立芸術大学附属研究所|권=31|쪽=59-75|ref=CITEREF遠藤2019}} | * {{저널 인용|언어고리=ja|저자=遠藤美奈|날짜=2019-03-31|제목=戦前の沖縄における「エイサー」と 「盆踊り」の諸相-|저널=沖縄芸術の科学|출판사=沖縄県立芸術大学附属研究所|권=31|쪽=59-75|ref=CITEREF遠藤2019}} | ||
* {{저널 인용|언어고리=ja|저자=小林公江|저자2=小林幸男|제목=今帰仁エイサー-今泊・兼次・崎山の資料化を通して-|저널=沖縄芸術の科学|권=9|출판사=沖縄県立芸術大学|날짜=1997|쪽=71-150|ref=CITEREF小林小林1997}} | * {{저널 인용|언어고리=ja|저자=小林公江|저자2=小林幸男|제목=今帰仁エイサー-今泊・兼次・崎山の資料化を通して-|저널=沖縄芸術の科学|권=9|출판사=沖縄県立芸術大学|날짜=1997|쪽=71-150|ref=CITEREF小林小林1997}} | ||
* {{책 인용|언어고리=en|제목=Performing Japan: Contemporary Expressions of Cultural Identity|장=Recontextualizing Eisa: Transformations In Religious, Competition, Festival And Tourism Contexts|editor=Henry Johnson and Jerry C. Jaffe|성=Johnson|이름=Henry|ISBN=978-90-04-21319-7|출판사=Brill| doi=10.1163/ej.9781905246311.i-340.69|날짜=2008-01-01|쪽=196-217|ref=CITEREFJohnson2008}} | |||
{{번역중|エイサー|ja}} | {{번역중|エイサー|ja}} |
2024년 11월 8일 (금) 02:02 판
에이사-(일본어:
유래
에이사-의 유래는 명확하지 않으나, 오봉에 현세로 돌아오는 조상의 영을 환송하기 위해, 남성들이 노래에 맞춰 춤을 주며 돌아다니는 데서 유래했다는 설이 많다[4].
한편 오키나와 왕국 시절 불교가 전파된 것을 근거로 보는 경우도 있다. 토호쿠 출신의 학승 타이츄-쇼-닌(
메이지 시기 이후 염불을 마을의 젊은이들이 대신 부르면서 서민들에게 에이사-가 보급되었다. 이후 본섬에서 오키나와 전체로 에이사-가 퍼지면서, 민요에 맞춰 춤추는 경우도 늘어났다. 요나구니 섬에는 1920년경에 보급되었다고 한다. 또한, 2차 세계대전 전에는 큰북을 쓰지 않고, 유카타를 입고 머릿수건을 쓰는 스타일이 주류를 이뤘다. 이렇게 되면서 1920년대쯤에 염불꾼이 사라지게 됐다[5].
연행
전통 방식
현대
주
- ↑ 遠藤 (2019), p. 60.
- ↑ Johnson (2008), p. 196.
- ↑ 진필수 (2010).
- ↑ 진필수 (2010), p. 94.
- ↑ 小林 & 小林 (1997), p. 54.
참고문헌
- 진필수 (2010년 1월). 오키나와(沖縄)의 전통예능 활성화와 소수민족 정체성의 행방: 에이사(エイサ—)의 사례. 《한국문화인류》 43 (1): 89~128.
- (일본어) 遠藤美奈 (2019년 3월 31일). 戦前の沖縄における「エイサー」と 「盆踊り」の諸相-. 《沖縄芸術の科学》 (沖縄県立芸術大学附属研究所) 31: 59-75.
- (일본어) 小林公江, 小林幸男 (1997년). 今帰仁エイサー-今泊・兼次・崎山の資料化を通して-. 《沖縄芸術の科学》 (沖縄県立芸術大学) 9: 71-150.
- (영어) Johnson, Henry (2008년 1월 1일). 〈Recontextualizing Eisa: Transformations In Religious, Competition, Festival And Tourism Contexts〉, Henry Johnson and Jerry C. Jaffe: 《Performing Japan: Contemporary Expressions of Cultural Identity》. Brill, 196-217쪽. doi:10.1163/ej.9781905246311.i-340.69. ISBN: 978-90-04-213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