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사: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다른 뜻 2|[[오키나와]]의 전통 무용|레이더 유형|AESA 레이더}} | {{다른 뜻 2|[[오키나와]]의 전통 무용|레이더 유형|AESA 레이더}} | ||
'''에이사-'''({{ja-y|エイサー}})는 [[오키나와]]와 [[아마미군도]]에서 생겨난 전통 무용이다. 지역에 따라 난사-, 엔사-, 7월무({{ja-y2|七月舞|しちぐゎちもーい| | '''에이사-'''({{ja-y|エイサー}})는 [[오키나와]]와 [[아마미군도]]에서 [[오봉]] 때 조상의 위안과 함께 제사적 목적으로 생겨난 전통 무용이다. 지역에 따라 난사-, 엔사-, 7월무({{ja-y2|七月舞|しちぐゎちもーい|시치과치모-이}}, 닌부치마-이({{ja-y2|念仏廻り|にんぶちまーい}}) 등으로도 불린다{{Sfn|小林|小林|1997|p=54}}. 현대에는 소고와 [[사미센]] 등의 연주를 결합한 오키나와 대표의 전통예능이 되었다. [[소-란]]보다도 앞서 [[오키나와 전섬 에이사-축제]] 등을 중심으로 한 지역 이벤트가 이뤄졌으며, 지역 청년회나 대학교 별로 동아리가 조직돼 오키나와와 일본의 청년 등을 묶는 계기로 활용되고 있다{{Sfn|진필수|2010}}. | ||
== 유래 == | == 유래 == | ||
에이사-의 유래는 명확하지 않으나, [[오봉]]에 | 에이사-의 유래는 명확하지 않으나, [[오봉]]에 현세로 돌아오는 조상의 영을 환송하기 위해, 남성들이 노래에 맞춰 춤을 주며 돌아다니는 데서 유래했다는 설이 많다{{Sfn|진필수|2010|p=94}}. | ||
한편 오키나와 왕국 시절 불교가 전파된 것을 근거로 보는 경우도 있다. 토호쿠 출신의 학승 타이츄-쇼-닌({{ja-y2|袋中上人|たいちゅうしょうにん}})이 1603년부터 3년간 슈리에 머물며 정토종을 포교한 것을 계기로, 오키나와 왕가나 귀족을 중심으로 염불이 퍼졌다. 18세기 중반에는, [[두타]]나 전례를 행하는 염불꾼({{ja-y2|念仏屋|にんぶちゃー}})을 오봉에 불러 조상에게 공양하는 풍습이, 슈리의 거리에 존재했다고 한다. 당시에는 현재의 에이사- 형식과 다르게, 문부가와 염불가 등을 추었다고 한다. <!-- | |||
東北出身の袋中上人が1603年から3年間首里に滞在して浄土宗を布教したのを契機に、沖縄では王家や貴族の間を中心として念仏が広まった。18世紀中頃には、托鉢や芸事を行う「念仏にゃー」(念仏屋、にんぶちゃー)をお盆に招いて先祖の供養を行う風習が、首里の屋敷町などで存在していたという[2]。当時は現代のエイサーと形式が異なり、門付歌と念仏歌だけで踊っていた。 | 東北出身の袋中上人が1603年から3年間首里に滞在して浄土宗を布教したのを契機に、沖縄では王家や貴族の間を中心として念仏が広まった。18世紀中頃には、托鉢や芸事を行う「念仏にゃー」(念仏屋、にんぶちゃー)をお盆に招いて先祖の供養を行う風習が、首里の屋敷町などで存在していたという[2]。当時は現代のエイサーと形式が異なり、門付歌と念仏歌だけで踊っていた。 | ||
2024년 11월 6일 (수) 17:01 판
에이사-(일본어:
유래
에이사-의 유래는 명확하지 않으나, 오봉에 현세로 돌아오는 조상의 영을 환송하기 위해, 남성들이 노래에 맞춰 춤을 주며 돌아다니는 데서 유래했다는 설이 많다[3].
한편 오키나와 왕국 시절 불교가 전파된 것을 근거로 보는 경우도 있다. 토호쿠 출신의 학승 타이츄-쇼-닌(
주
- ↑ 小林 & 小林 (1997), p. 54.
- ↑ 진필수 (2010).
- ↑ 진필수 (2010), p. 94.
참고문헌
- 진필수 (2010년 1월). 오키나와(沖縄)의 전통예능 활성화와 소수민족 정체성의 행방: 에이사(エイサ—)의 사례. 《한국문화인류》 43 (1): 89~128.
- 小林公江, 小林幸男. 今帰仁エイサー-今泊・兼次・崎山の資料化を通して-. 《沖縄芸術の科学》 (沖縄県立芸術大学) 9: 71-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