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서진: 두 판 사이의 차이

모든 지식의 총합을 위한 자유지식위키, 리프위키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출판사=" 문자열을 "|뉴스=" 문자열로)
 
2번째 줄: 2번째 줄:


== 개요 ==
== 개요 ==
정서진은 원래 [[강화도]]에 위치한 낙조대의 별칭이었다.<ref>{{기사 인용|출판사=[[서울신문]]|url=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90413028001|제목=<nowiki>[도시와 산]</nowiki> 강화 고려산|저자=김학준, 도준석기자|작성일자=2009-04-13|쪽=28|확인일자=2014-04-21}}</ref> 그러나 [[인천광역시]]는 이후 정서진의 위치를 다시 정할 입장을 밝혔고, 예비 후보지를 원 위치인 [[인천 강화군|강화군]] 낙조마을와 [[인천 중구|중구]] 용유동의 왕산해변으로 잡고 재 확인절차를 밟았다.<ref>{{기사 인용|제목=인천은 '정서진' 강원도는 '정동진'|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2807079|저자=신민재 기자|출판사=[[연합뉴스]]|작성일자=2009-08-11|확인일자=2014-04-21}}</ref><ref>{{기사 인용|url=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908120400035&code=950201|제목=‘정동진’ 견줄 ‘정서진’ 만든다|저자=지건태 기자|출판사=[[경향신문]]|작성일자=2009-08-12|확인일자=2014-04-21}}</ref> 그러나 원래 정서진이라는 명칭을 가지고 있던 강화군 쪽과 중구 쪽이 치열하게 대치하면서 상당 기간 지정 절차가 지연되었다.<ref name="ytn2010">{{기사 인용|url=http://www.ytn.co.kr/_ln/0103_201003171705482531|제목=<nowiki>[인천]</nowiki> 인천 낙조 명소 '정서진' 표류|저자=최명신 기자|작성일자=2010-03-17|확인일자=2014-04-21}}</ref> 그러나 서울 광화문에서 일직선으로 본토가 끝나는 지점인 서구 세어도 부근이 정서진으로 선정되어야 한다는 서구측의 주장<ref name="ytn2010" />이 받아들여지면서 결국 2011년 서구는 [[경인아라뱃길]]이 서해와 만나는 지점이라며 정서진 사업의 시작을 선포했다.<ref>{{기사 인용|작성일자=2011-03-31|확인일자=2014-04-21|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4987910|제목=인천 서구 '정서진' 관광명소로 조성|저자=신민재 기자|출판사=[[연합뉴스]]}}</ref>
정서진은 원래 [[강화도]]에 위치한 낙조대의 별칭이었다.<ref>{{기사 인용|뉴스=[[서울신문]]|url=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90413028001|제목=<nowiki>[도시와 산]</nowiki> 강화 고려산|저자=김학준, 도준석기자|작성일자=2009-04-13|쪽=28|확인일자=2014-04-21}}</ref> 그러나 [[인천광역시]]는 이후 정서진의 위치를 다시 정할 입장을 밝혔고, 예비 후보지를 원 위치인 [[인천 강화군|강화군]] 낙조마을와 [[인천 중구|중구]] 용유동의 왕산해변으로 잡고 재 확인절차를 밟았다.<ref>{{기사 인용|제목=인천은 '정서진' 강원도는 '정동진'|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2807079|저자=신민재 기자|뉴스=[[연합뉴스]]|작성일자=2009-08-11|확인일자=2014-04-21}}</ref><ref>{{기사 인용|url=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908120400035&code=950201|제목=‘정동진’ 견줄 ‘정서진’ 만든다|저자=지건태 기자|뉴스=[[경향신문]]|작성일자=2009-08-12|확인일자=2014-04-21}}</ref> 그러나 원래 정서진이라는 명칭을 가지고 있던 강화군 쪽과 중구 쪽이 치열하게 대치하면서 상당 기간 지정 절차가 지연되었다.<ref name="ytn2010">{{기사 인용|url=http://www.ytn.co.kr/_ln/0103_201003171705482531|제목=<nowiki>[인천]</nowiki> 인천 낙조 명소 '정서진' 표류|저자=최명신 기자|작성일자=2010-03-17|확인일자=2014-04-21}}</ref> 그러나 서울 광화문에서 일직선으로 본토가 끝나는 지점인 서구 세어도 부근이 정서진으로 선정되어야 한다는 서구측의 주장<ref name="ytn2010" />이 받아들여지면서 결국 2011년 서구는 [[경인아라뱃길]]이 서해와 만나는 지점이라며 정서진 사업의 시작을 선포했다.<ref>{{기사 인용|작성일자=2011-03-31|확인일자=2014-04-21|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4987910|제목=인천 서구 '정서진' 관광명소로 조성|저자=신민재 기자|뉴스=[[연합뉴스]]}}</ref>


한편 [[충청남도]] [[태안군]]은 정서진이라는 개념을 대한민국 전체 영토의 서쪽 맨 끝으로 재해석하고, 이미 [[만리포]] 지역을 [[2005년]]에 정서진으로 지정하였으며<ref name="ytn2010" /><ref name="ta2011">{{기사 인용|제목=강릉 '정동진' 대칭 '정서진'은 태안 만리포|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5086188|출판사=[[연합뉴스]]|저자=유의주 기자|작성일자=2011-05-29|확인일자=2014-04-21}}</ref>, 2008년에는 [[무한도전]]을 초청하여 정서진을 홍보한 적이 있다.<ref>{{기사 인용|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0805101838471001|제목=하찮은 박명수 “(제가) 면장보다 높은 면봉입니다”|작성일자=2008-05-10|확인일자=2014-04-21|출판사=[[뉴스엔]]|저자=김예나 기자}}</ref> 이러한 상황에서 인천 서구가 정서진이 자신의 것이라고 주장하자 태안군은 급히 '제1회 만리포 정서진 선포식 및 기념축제'를 급조해 정서진의 위치가 만리포임을 주장하였다.<ref name="ta2011" />
한편 [[충청남도]] [[태안군]]은 정서진이라는 개념을 대한민국 전체 영토의 서쪽 맨 끝으로 재해석하고, 이미 [[만리포]] 지역을 [[2005년]]에 정서진으로 지정하였으며<ref name="ytn2010" /><ref name="ta2011">{{기사 인용|제목=강릉 '정동진' 대칭 '정서진'은 태안 만리포|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5086188|뉴스=[[연합뉴스]]|저자=유의주 기자|작성일자=2011-05-29|확인일자=2014-04-21}}</ref>, 2008년에는 [[무한도전]]을 초청하여 정서진을 홍보한 적이 있다.<ref>{{기사 인용|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0805101838471001|제목=하찮은 박명수 “(제가) 면장보다 높은 면봉입니다”|작성일자=2008-05-10|확인일자=2014-04-21|뉴스=[[뉴스엔]]|저자=김예나 기자}}</ref> 이러한 상황에서 인천 서구가 정서진이 자신의 것이라고 주장하자 태안군은 급히 '제1회 만리포 정서진 선포식 및 기념축제'를 급조해 정서진의 위치가 만리포임을 주장하였다.<ref name="ta2011" />


== 출처 및 주 ==
== 출처 및 주 ==

2020년 6월 11일 (목) 10:51 기준 최신판

정서진(正西津)은 강원도 강릉에 있는 정동진(正東津)의 대칭 개념으로 서울 광화문을 기준으로, 정서쪽에 있는 지역을 의미한다.

개요

정서진은 원래 강화도에 위치한 낙조대의 별칭이었다.[1] 그러나 인천광역시는 이후 정서진의 위치를 다시 정할 입장을 밝혔고, 예비 후보지를 원 위치인 강화군 낙조마을와 중구 용유동의 왕산해변으로 잡고 재 확인절차를 밟았다.[2][3] 그러나 원래 정서진이라는 명칭을 가지고 있던 강화군 쪽과 중구 쪽이 치열하게 대치하면서 상당 기간 지정 절차가 지연되었다.[4] 그러나 서울 광화문에서 일직선으로 본토가 끝나는 지점인 서구 세어도 부근이 정서진으로 선정되어야 한다는 서구측의 주장[4]이 받아들여지면서 결국 2011년 서구는 경인아라뱃길이 서해와 만나는 지점이라며 정서진 사업의 시작을 선포했다.[5]

한편 충청남도 태안군은 정서진이라는 개념을 대한민국 전체 영토의 서쪽 맨 끝으로 재해석하고, 이미 만리포 지역을 2005년에 정서진으로 지정하였으며[4][6], 2008년에는 무한도전을 초청하여 정서진을 홍보한 적이 있다.[7] 이러한 상황에서 인천 서구가 정서진이 자신의 것이라고 주장하자 태안군은 급히 '제1회 만리포 정서진 선포식 및 기념축제'를 급조해 정서진의 위치가 만리포임을 주장하였다.[6]

출처 및 주

  1. 김학준, 도준석기자. “[도시와 산] 강화 고려산”, 《서울신문》, 2009년 4월 13일 작성, p. 28. 2014년 4월 21일에 확인.
  2. 신민재 기자. “인천은 '정서진' 강원도는 '정동진'”, 《연합뉴스》, 2009년 8월 11일 작성. 2014년 4월 21일에 확인.
  3. 지건태 기자. “‘정동진’ 견줄 ‘정서진’ 만든다”, 《경향신문》, 2009년 8월 12일 작성. 2014년 4월 21일에 확인.
  4. 4.0 4.1 4.2 최명신 기자. “[인천] 인천 낙조 명소 '정서진' 표류”, 2010년 3월 17일 작성. 2014년 4월 21일에 확인.
  5. 신민재 기자. “인천 서구 '정서진' 관광명소로 조성”, 《연합뉴스》, 2011년 3월 31일 작성. 2014년 4월 21일에 확인.
  6. 6.0 6.1 유의주 기자. “강릉 '정동진' 대칭 '정서진'은 태안 만리포”, 《연합뉴스》, 2011년 5월 29일 작성. 2014년 4월 21일에 확인.
  7. 김예나 기자. “하찮은 박명수 “(제가) 면장보다 높은 면봉입니다””, 《뉴스엔》, 2008년 5월 10일 작성. 2014년 4월 21일에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