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다기초선설계: 두 판 사이의 차이

모든 지식의 총합을 위한 자유지식위키, 리프위키
태그: 모바일 편집 모바일 웹 편집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중다기초선설계'''({{llang|en|Multiple baseline design}})는 과학적 실험 설계 방법론 중 하나로, 복수의 연구 대상에게 순차적으로 [[중재]]를 시행하는 방식이다. [[심리학]]이나 [[정신의학]], [[특수교육학]]에서 많은 사람을 대상으로 정량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어려울 때 연구 방법으로 주로 사용된다.
'''중다기초선설계'''({{llang|en|Multiple baseline design}})는 과학적 실험 설계 방법론 중 하나로, 복수의 연구 대상에게 순차적으로 [[중재]]를 시행하는 방식이다. [[심리학]]이나 [[정신의학]], [[특수교육학]]에서 많은 사람을 대상으로 정량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어려울 때 연구 방법으로 주로 사용된다.
== 실험 방식 ==
중다기초선설계에서, 실험자는 미리 설정한 측정 기준에 따라 연구대상자가 최종적으로 수행하기 원하는 특정 능력의 수행 정도를 시차를 두고 지속적으로 측정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두 세번 정도 지속적으로 측정하면서 연구대상자가 안정적으로 보이는 낮은 수준의 측정능력, 즉 기초선(baseline)이 형성된 것을 확인한 이후에 첫번째 사람부터 중재를 시작하면서 동시에 측정을 시작한다. 이후 3-4번 정도의 간격을 두고 다른 사람들에게도 중재를 시작해서 마지막 사람까지 동일한 횟수의 중재를 시행한 이후, 높은 수준의 안정된 모습을 보인다면 중재를 중단하고 마지막 사람이 안정된 모습을 유지하는 것이 확인될 때까지 측정을 계속한다.


== 장점 ==
== 장점 ==
중다기초선설계는 단일 대상에게 기초선(baseline) 측정 이후 중재를 시행하는 기존의 단일중재 설계에 비해 장점을 가지고 있다. 각 연구대상마다 시차를 두고 처치(treatment)를 시작하기 때문에, 각 연구대상마다 중재에 따라서 동일한 결과가 나왔다면, 처치에 따른 결과가 우연적이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중다기초선설계는 단일 대상에게 기초선 측정 이후 중재를 시행하는 기존의 단일중재 설계에 비해 장점을 가지고 있다. 각 연구대상마다 시차를 두고 처치(treatment)를 시작하기 때문에, 각 연구대상마다 중재에 따라서 동일한 결과가 나왔다면, 처치에 따른 결과가 우연적이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수의 연구대상(사례)들에게서 자료를 모음으로서, 모든 연구참가자에게 독집적인 시행을 통해 중대한 변화가 일어난다면, 처치가 효과적이었다고 추론함과 동시에,  실험을 통해 측정된 특성이 더 많은 사람들에게 일반화될 가능성에 대한 추론을 도출할 수 있다.  


By gathering data from many subjects (instances), inferences can be made about the likeliness that the measured trait generalizes to a greater population. In multiple baseline designs, the experimenter starts by measuring a trait of interest, then applies a treatment before measuring that trait again. Treatment does not begin until a stable baseline has been recorded, and does not finish until measures regain stability.[1] If a significant change occurs across all participants the experimenter may infer that the treatment is effective.
또한 중다기초선 실험은 중재가 종료된 이후에 다시 종속된 변량이 원래 상태로 되돌아 가지 않을 것으로 예측될 때나, 의학적인 이유로 처치의 중단이 금지되어 있는 경우에 가장 빈번하게 사용된다.  


Multiple base-line experiments are most commonly used in cases where the dependent variable is not expected to return to normal after the treatment has been applied, or when medical reasons forbid the withdrawal of a treatment. They often employ particular methods or recruiting participants. Multiple baseline designs are associated with potential confounds introduced by experimenter bias, which must be addressed to preserve objectivity. Particularly, researchers are advised to develop all test schedules and data collection limits beforehand.
They often employ particular methods or recruiting participants. Multiple baseline designs are associated with potential confounds introduced by experimenter bias, which must be addressed to preserve objectivity. Particularly, researchers are advised to develop all test schedules and data collection limits beforehand.


== 세부적인 방식 ==
== 세부적인 방식 ==

2020년 5월 19일 (화) 02:50 판

중다기초선설계(영어: Multiple baseline design)는 과학적 실험 설계 방법론 중 하나로, 복수의 연구 대상에게 순차적으로 중재를 시행하는 방식이다. 심리학이나 정신의학, 특수교육학에서 많은 사람을 대상으로 정량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어려울 때 연구 방법으로 주로 사용된다.

실험 방식

중다기초선설계에서, 실험자는 미리 설정한 측정 기준에 따라 연구대상자가 최종적으로 수행하기 원하는 특정 능력의 수행 정도를 시차를 두고 지속적으로 측정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두 세번 정도 지속적으로 측정하면서 연구대상자가 안정적으로 보이는 낮은 수준의 측정능력, 즉 기초선(baseline)이 형성된 것을 확인한 이후에 첫번째 사람부터 중재를 시작하면서 동시에 측정을 시작한다. 이후 3-4번 정도의 간격을 두고 다른 사람들에게도 중재를 시작해서 마지막 사람까지 동일한 횟수의 중재를 시행한 이후, 높은 수준의 안정된 모습을 보인다면 중재를 중단하고 마지막 사람이 안정된 모습을 유지하는 것이 확인될 때까지 측정을 계속한다.

장점

중다기초선설계는 단일 대상에게 기초선 측정 이후 중재를 시행하는 기존의 단일중재 설계에 비해 장점을 가지고 있다. 각 연구대상마다 시차를 두고 처치(treatment)를 시작하기 때문에, 각 연구대상마다 중재에 따라서 동일한 결과가 나왔다면, 처치에 따른 결과가 우연적이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수의 연구대상(사례)들에게서 자료를 모음으로서, 모든 연구참가자에게 독집적인 시행을 통해 중대한 변화가 일어난다면, 처치가 효과적이었다고 추론함과 동시에, 실험을 통해 측정된 특성이 더 많은 사람들에게 일반화될 가능성에 대한 추론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중다기초선 실험은 중재가 종료된 이후에 다시 종속된 변량이 원래 상태로 되돌아 가지 않을 것으로 예측될 때나, 의학적인 이유로 처치의 중단이 금지되어 있는 경우에 가장 빈번하게 사용된다.

They often employ particular methods or recruiting participants. Multiple baseline designs are associated with potential confounds introduced by experimenter bias, which must be addressed to preserve objectivity. Particularly, researchers are advised to develop all test schedules and data collection limits beforehand.

세부적인 방식

동시발생(Concurrent) 방식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