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7년 구로구을 우편투표함 사전수송 논란: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Ellif님이 1987년 구로을 우편투표함 사전수송 논란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1987년 구로구을 우편투표함 사전수송 논란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선거구명 착각)
잔글편집 요약 없음
12번째 줄: 12번째 줄:
{|class="wikitable" |+ 구로구을 선거구 우편투표함 개표결과
{|class="wikitable" |+ 구로구을 선거구 우편투표함 개표결과
|-
|-
! !! 1987년 공포된 결과 !! 우편투표함 개표 결과 !! 보정 선거결과  
! !! 1987년 공포된 결과 !! 우편투표함 개표 결과<ref>한국정치학회(2016:114)</ref> !! 보정 선거결과  
|-style="text-align: right;"
|-style="text-align: right;"
!style="text-align: center;" | 노태우<br /><small>([[민주정의당]])</small>  
!style="text-align: center;" | 노태우<br /><small>([[민주정의당]])</small>  
30번째 줄: 30번째 줄:
|-style="text-align: right;"
|-style="text-align: right;"
!style="text-align: center;" | 유효표 계  
!style="text-align: center;" | 유효표 계  
| 185,609 || 4,243 || 189,852
| '''185,609''' || '''4,243''' || '''189,852'''
|-style="text-align: right;"
|-style="text-align: right;"
!style="text-align: center;" | 무효표  
!style="text-align: center;" | 무효표  
| 7,319 || 82 || 3,067
| 7,319 || 82 || 3,067
|-style="text-align: right;"
!style="text-align: center;" | 투표수
| '''192,919''' || '''4,325''' || '''192,919'''
|-style="text-align: right;"
|-style="text-align: right;"
!style="text-align: center;" | 기권  
!style="text-align: center;" | 기권  
39번째 줄: 42번째 줄:
|-style="text-align: right;"
|-style="text-align: right;"
!style="text-align: center;" | 총선거인수
!style="text-align: center;" | 총선거인수
| 217,352 || 4,529 || 217,352
| '''217,352''' || '''4,529''' || '''217,352'''
|}
|}


== 결과 ==
== 결과 ==
한국정치학회는 2016년 9월 연구결과를 내고 10월 24일 연구용역보고서를 공표했다<ref name="kpsa420">{{웹 인용|url=http://www.kpsa.or.kr/modules/bbs/index.php?code=notice&mode=view&id=420|제목=13대 대선 구로구을 우편투표함 진위 검증 연구용역보고서|출판사=[[한국정치학회]]|날짜=2016-10-24|확인날짜=2020-05-05}}</ref>.  
한국정치학회는 2016년 9월 말에 연구결과보고서를 대한민국 중앙선관위에 제출했다<ref name="kpsa420">{{웹 인용|url=http://www.kpsa.or.kr/modules/bbs/index.php?code=notice&mode=view&id=420|제목=13대 대선 구로구을 우편투표함 진위 검증 연구용역보고서|출판사=[[한국정치학회]]|날짜=2016-10-24|확인날짜=2020-05-05}}</ref>. 제출된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해당 우편투표함은 국과수 감식결과와 투표함 사수 활동에 참여했던 정수면님이 해당 우편투표함의 동일성을 증언하는 점, 해당 투표함 내에서 개표된 표의 수가 선관위가 접수한 부재자 투표수와 일치하는 점<ref>한국정치학회(2016:128, 130)</ref> 등을 들어볼 때 조작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보았다. 그러나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확인된 해당 우편투표함의 개표결과는 전국적 수준의 투표결과와 다르다고 할 수 있어 당시 우편투표함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군 부재자 선거가 선거원칙을 위배한 부정선거였음을 증언한 증언들의 신뢰성을 확인한다고 해석하였다<ref>한국정치학회(2016:131)</ref>.
 
중앙선관위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받아 [[2016년]] [[10월 23일]] 최종 입장을 내놓았다.<ref name="nec1610">{{웹 인용|url=https://www.nec.go.kr/portal/bbs/view/B0000342/34171.do|제목=구로구을 우편투표함 진위검증 연구용역 결과에 대한 입장
|저자=공보과|출판사=[[중앙선거관리위원회]]|확인날짜=2020-05-05|날짜=2016-10-23}}, [[공공누리]] 제1유형</ref> 중앙선관위는 “해당 투표함이 정규투표함에 해당됨을 확인했다”면서도 “87년 당시 소홀한 선거관리로 인해 우편투표함의 조기 이송이 구로구을 우편투표함 사건의 발단이 된 점에 대하여 유감을 표명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로 인해 당시 선거가 부정선거였을 가능성 자체에 대해서는 시인하지 않았다.


연구용역보고서에 따르면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이후 공정하고 국민들에게 믿음을 주는 선거관리를 이루겠다며 투명한 선거관리를 내세우고 있으나<ref name="nec1610" /> 한국정치학회가 지적한 대로 선거과정에는 유권자와 정치권, 선관위 간의 신뢰 형성이 필요시된다고 할 수 있다<ref>한국정치학회(2016:134)</ref>. 그러나 대한민국 국민들은 [[가짜뉴스]]가 섞여있는 부분이 있다고 하더라도 [[21대 총선]]이 진행된 [[2020년]]에 이르기까지 아직도 대한민국의 선거과정에 대한 의문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통해 볼 때 구로을 우편투표함 논란이 제기하고 있는 문제는 {{현재}}까지 종식되었다고 보기에는 힘든 측면이 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현재}}도 투명한 선거관리를 내세우고 있으나 한국정치학회가 지적한 대로 선거과정에는 유권자와 정치권, 선관위 간의 신뢰 형성이 필요시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 국민들은 아직도 대한민국의 선거과정에 대한 의문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통해 볼 때 구로을 우편투표함 논란이 제기하고 있는 문제는 {{현재}}까지 종식되었다고 보기에는 힘든 측면이 있다.
== 주 ==
{{reflist|}}


== 참고문헌 ==
== 참고문헌 ==
{{reflist|}}
* {{책 인용|저자=한국정치학회|연도=2016|제목=1987년 대통령선거 구로구을 부재자 우편투표함 진위 검증 연구용역|url=http://www.kpsa.or.kr/modules/bbs/index.php?code=notice&mode=view&id=420|출판사=[[중앙선거관리위원회]] 연구보고서}}, 연구책임자: 손병권(중앙대), 공동연구원: 조진만, 서복경, 연구보조원: 김민호.


[[분류:1987년]]
[[분류:1987년]]
[[분류:부정선거 논란]]
[[분류:부정선거 논란]]
[[분류:대한민국의 민주화운동]]
[[분류:대한민국의 민주화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