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야 5장: 두 판 사이의 차이

5,329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12월 19일 (화)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이사야 5장'''은 이사야의 다섯번째 장이다. == 본문 == <poem>{{절|1}} “”이제 나는 내 사랑에게 ‘내 연인의 포도밭’ 노래로 ⇔ 노래하리라. 내 사랑에게 포도밭이 있었네, 언덕 위 매우 기름진. {{절|2}} :{{절|3}} :: :{{절|4}} :: :{{절|5}} :: :{{절|6}} :: :{{절|7}} :: ¶ :{{절|8}} :: :{{절|9}} :: :{{절|10}} :: ● :{{절|11}} :: :{{절|12}} :: :{{절|13}} :: :{{절|14}} :: :{{절|15}} :: :{{...)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 본문 ==
== 본문 ==
<poem>{{절|1}} “”이제 나는 내 사랑에게 ‘내 연인의 포도밭’ 노래로 ⇔ 노래하리라.  
<poem>{{절|1}} 이제 나는 내 사랑에게 ‘내 연인의 포도밭’ 노래를 ⇔ 노래하리라.  


사랑에게 포도밭이 있었네, 언덕 위 매우 기름진. {{절|2}}
:“내 사랑에게 포도밭이 있었네,
:: 언덕 위 매우 기름진.  
:{{절|2}} 그가 포도밭을 일구고 돌을 빼고,
:: 포도나무를 심었네.
:: 그 가운데 감시탑도 세우고,
::: 포도주 틀까지 파 넣고,
:: 포도를 내길 원했다만,
::: 나온건 먹지 못할 포도였구나.
:{{절|3}} 이제 예루살렘 시민들아, 유다 사람들아!
:: 나와 포도밭 중에 어디가 [맞는]지 판결해 보아라.
: {{절|4}} 내가 내 포도원에 계속 해줘야 [할 것]이 무엇인가?
:: 내가 여기에 쏟지 않은 것이 있던가?
:: 포도송이가 맺길 원한 나에게
::: 너는 쓴포도를 내었구나!
:{{절|5}} 이제 나는 너희들이
:: 내 포도밭에 할 짓을 알게 하리라.
:: 울타리를 뽑았으니 [나무]들이 불탔구나.
:::담을 허물었으니 뜀터가 되었구나.
: {{절|6}} [이 곳을] 폐허 상태로 남기리라.
:: 가지치지도 뽑지도 않은 채로.
::: 그 위에는 가시덤불과 엉겅퀴가 붙으리.
:: 나는 먹구름에게 명령해서
::: 그 위에 비조차도 내리지 못하게 하겠다.”
:{{절|7}} 전능하신 '''하나님'''의 포도밭은 이스라엘의 집,
:: 유다의 사람들이 그가 사랑하던 나무다.
:: 그는 정의를 바랐지만, 보아라! 피가 낭자하다.
::: 그는 옳음을 바랐지만, 보아라! 울부짖음뿐이다.¶


:{{절|3}}
{{절|8}} 아이고, 집 옆 집을, 땅 옆 땅을 끌어오고, 땅 끝까지 다 모아서 땅 가운데에서 홀로 머물려는 이들! {{절|9}} 만군의 '''하나님'''께서 내 귀에 [말씀하셨다.] “반드시<sup>1)</sup>, 나는 수많은 집들을 잿더미로 만들겠다. 크고 좋은 집에 사는 [사람]이 사라진다. {{절|10}} 열흘갈이 포도밭에서 한통만 나고, 한 섬 씨에서 한 말만이 나오리라.” ●  
::
{{절|11}} 아이고, 일찍 일어나 아침부터 낯술을 일삼고, 와인으로 달아올라 해거름까지 놓치 않으려는 이들! {{절|12}} 큰 하프, 작은 하프에 소고와 피리 소리, 저희 마실 포도주 [가득하지만], 하나님이 하신 일에는 관심도 없고, 그의 손으로 만드신 것은 보지 않았다. {{절|13}} 그래서 그는 내 백성들을 저들이 깨닫지 못한 [사이에] 몰아내리라. 유력자들은 굶주리고, 민중들은 타는듯이 목마를 것이다.  {{절|14}} 그래서 스올이 그의 생명을 삼키고, 끝없는 [스올의] 입이 벌려질 것이다. 귀족도 민중도 자신들이 즐거워 하는 혀와 함께 떨어진다. {{절|15}} 인간이 내려 꽂히고, 사람이 낮아지며, 그들의 높은 높았던 눈이 낮아질 것이다. {{절|16}} 하지만 만군의 '''하나님'''은 높아지시고, 거룩하신 하나님의 판결이 의인을 통해 거룩해진다. {{절|17}} [양]들이 풀밭에서 새끼 양을 먹이고, 살찐 [짐승]이 폐허에서 머물며 먹을 것이니.
:{{절|4}}
{{절|18}} 아이고, 텅 빈 무더기에서 악을 꼬아서, 그 줄로 수레를 끌며 {{절|19}} 말하는 이들, “보고 가까이 가야 하니, 그 일을 빨리빨리 해치워라! 이스라엘의 거룩한 모임에 우리도 가서 관여하자!” ¶ {{절|20}} 아이고, 악을 좋다고 말하는 이들, 선이 나쁘다고 말하는 이들, 어두움을 빛으로, 빛을 어둠으로 만드는 이들! 쓴 것을 달게, 단것을 쓰게 만드는 이들! ¶ {{절|21}} 아이고, 자기들 눈에만 지식인[인 사람]들아, 자기들 앞에서만 깨달은 이들아! {{절|22}} 아이고, 와인을 들이붓는 용사들아, 소맥<sup>2)</sup>을 열심히 섞는 힘센 사람들아! {{절|23}} 뇌물을 받아 악인을 옳다 하고, 의인의 적법행위를 지우는 이들아! ¶ {{절|24}} 그러므로, 불꽃이 짚을 삼키리라. 마른 풀이 불꽃 속에 사그라들리라. 뿌리가 썩은듯이 되리라. 꽃잎이 연기처럼 오르리라. 전능하신 '''하나님'''의 율례를 거절하고, 이스라엘의 전능하신 분이 하신 말씀을 경멸했으니.
::
{{절|25}} 그러므로 하나님의 분노가 그의 백성에게 타올랐다. 그가 손을 [도시]에 뻗어 치니 산들이 떤다. 그들의 시체가 쓰레기더미마냥 도심에 [널린다]. 이 모든 상황에도 그는 자기 분노를 되돌리지 않고 계속 손을 뻗는다. {{절|26}} 먼 나라에게 [공격] 좌표를 찍으셨다<sup>3)</sup>. 그들을 땅 끝에서부터 부르셨다. 보아라! 저들이 서둘러 급히 온다. {{절|27}} 그 중에는 피곤한 사람도, 비틀대는 이도 없고, 졸리는 이도, 자는 이도 없다. 허리띠가 풀려진 사람도 없고, 신들메가 끊어진 사람도 없다. {{절|28}} 그의 화살이 날카로운데 모든 활에 매겨져 있고, 그들의 말발굽은 짱돌 같고, 그들의 수레바퀴는 회오리바람 같으니. {{절|29}} 그의 울부짖음은 사자같구나. 어린 사자 같이 으르렁대는구나. 한번 울고 먹이를 잡아 가져가면 끄집어 낼 이가 없구나. {{절|30}} 그 날에 그가 철썩이는 바다처럼, ⇔ 그에게 소리낸다. 누군가 땅을 샅샅이 찾아 보면, 아! 어둠과 괴로움 뿐이고, 빚조차 구름 속에서 어두워질 것이다. ●
:{{절|5}}
 
::
<sup>1)</sup> 히. 틀림-없이; 아님-없이
:{{절|6}}
<sup>2)</sup> 히. 독주
::
<sup>2)</sup> 히. 깃발을 드셨다
:{{절|7}}
:: ¶
:{{절|8}}
::
:{{절|9}}
::
:{{절|10}}
::
:{{절|11}}
::
:{{절|12}}
::
:{{절|13}}
::
:{{절|14}}
::
:{{절|15}}
::
:{{절|16}}
::
:{{절|17}}
::
:{{절|18}}
::
:{{절|19}}
::
:{{절|20}}
::
:{{절|21}}
::
:{{절|22}}
::
:{{절|23}}
::
:{{절|24}}
::
:{{절|25}}
::
:{{절|26}}
::
:{{절|27}}
::
:{{절|28}}
::
:{{절|29}}
::
:{{절|30}}
:: ●
<sup>1)</sup>
</poem>
</poem>


83번째 줄: 60번째 줄:
=== 16절 ===
=== 16절 ===
=== 17절 ===
=== 17절 ===
이 절은 양들이 풀밭을 뛰어 다니는 평화의 회복을 예견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다르다. 양은 혼자서 살 수 없는 존재로 알려져 있고, 따라서 목자의 세심한 도움이 필요하다. 그러나 그러한 도움이 없이 홀로 양이 다니는 모습에서 실제로는 폐허가 된 상태에서 양들이 아무의 간섭도 없이 살아가는 절망적인 모습을 하나님께서 예언하신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 18절 ===
=== 18절 ===
=== 19절 ===
=== 19절 ===
99번째 줄: 77번째 줄:
{{빈칸}}
{{빈칸}}
{{이사야}}
{{이사야}}
[[분류:이사야|미_05]]
[[분류:이사야|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