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공감문제: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 {{저널 인용|성1=Crompton|성2=Debrabander|성3=Heasman|성4=Milton|성5=Sasson|이름1=Catherine J|이름2=Kilee|이름3=Brett|이름4=Damian|이름5=Noah J.|날짜=2021-05-11|제목=Double Empathy: Why Autistic People Are Often Misunderstood|DOI=10.3389/frym.2021.554875|url=https://kids.frontiersin.org/articles/10.3389/frym.2021.554875|저널=Frontiers for Young Minds|ref=CITEREFCromptonDebrabanderHeasmanMilton2021}} | * {{저널 인용|성1=Crompton|성2=Debrabander|성3=Heasman|성4=Milton|성5=Sasson|이름1=Catherine J|이름2=Kilee|이름3=Brett|이름4=Damian|이름5=Noah J.|날짜=2021-05-11|제목=Double Empathy: Why Autistic People Are Often Misunderstood|DOI=10.3389/frym.2021.554875|url=https://kids.frontiersin.org/articles/10.3389/frym.2021.554875|저널=Frontiers for Young Minds|ref=CITEREFCromptonDebrabanderHeasmanMilton2021}} | ||
{{번역중|Double empathy problem}} | |||
[[분류:신경다양성]] | [[분류:신경다양성]] |
2021년 11월 14일 (일) 09:47 기준 최신판
이중공감문제(영어: Double empathy problem)는 대미언 밀튼이 마음이론의 대안 이론으로 2012년에 제시한 이론이다[1]. 기존의 마음이론이 다른 사람의 의도를 파악하지 못하는 자폐당사자의 사회적 고립을 자폐당사자의 결여로 해석하는 반면, 이중공감문제는 자폐당사자와 일반인간의 소통 구조 차이로 인한 쌍방향 소통적 문제로 제안한다[2]. 현재 이중공감문제는 여러 과학적 실험을 통해 그 유효성이 증명되어가고 있다.
유래
실험 사례
주
참고문헌
- Milton, Damian EM. On the ontological status of autism: the ‘double empathy problem’. 《Disability & Society》 27 (6): 883-887. doi:10.1080/09687599.2012.710008.
- Crompton, {{{firstCatherine J}}}, Debrabander, Kilee, Heasman, Brett, Milton, Damian, Sasson, Noah J. (2021년 5월 11일) Double Empathy: Why Autistic People Are Often Misunderstood. 《Frontiers for Young Minds》. doi:10.3389/frym.2021.5548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