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회

모든 지식의 총합을 위한 자유지식위키, 리프위키
Ellif (토론 | 기여)님의 2013년 4월 25일 (목) 12:11 판 (→‎개요)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성공회(聖公會, 영어: Anglican Church, Episcopal Church)는 기독교의 4대 종단 중 하나이다. 성공하자고 모인 모임(成功會)이 아니다

성공회의 의미를 좀더 길게 쓰면 결국 '거룩하고, 사도로부터 이어오는 공교회sanctam, cathólicam et apostólicam Ecclésiam[1]'인데, 이는 로마 가톨릭이나 정교회가 자신의 교회를 의미하는 바와 다를바가 없다. 즉 '가톨릭 교회', '성공회'는 영어로는 똑같은 'Catholic church'라는 개념을 서로 다르게 표현한 것에 불과하다.

성공회는 개신교인가?

우선 성공회가 개신교의 분파라고 보는 의견부터 살펴봐야 할 것 같다. 분명히 성공회는 현재의 개신교를 만든 종교개혁시절에 출범했고, 따라서 종교개혁의 산물이 맞기는 하지만 성공회가 다른 개신교와는 달리 로마 가톨릭의 체계를 거의 다 받아들였다는 점에서 차이가 발생한다. 심지어 예전을 보전한 루터교도 버린 5성사를 성사적 예식으로 다 받아들이고 있으며, 교회 예식 또한 가톨릭과 크게 차이가 없다.[2] 그런 의미에서 개신교와 동일한 차원으로 보기는 애매한 면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공회가 개신교 안에 들어간다고 보는 분들이 상당히 많고, 심지어 CBS가 한국 개신교 교단의 예배실황을 전한다는 명목으로 CBS 성탄 축하예배에 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감사성찬례실황을 내보내기도 하는 등[3] 성공회는 대부분의 기독교인들에게 개신교 취급을 당하고 있다. 심지어 로마 가톨릭쪽에서도 성공회를 각론적으로 '교회들' 차원에 포함시키지 않고 닭치고 '교회 공동체' 차원으로 대하는 실정이다. 하지만 성공회쪽 차원에서는 상황이 다른게, 일단 자신들은 개신교와는 엄연히 다른 종파라고 극구 기도하고 있고, 교황 베네딕트 16세의 지시에 따라 신앙교리성이 '우리만 교회임'이라고 하는 교리문답을 내놓자[4] 성공회 측에서는 "우리도 교회다"라고 대응한 것에 비춰봐도[5] 성공회의 개체교회의식은 사실상 선명하다고 해도 될 것 같다.

대한민국에서 성공회를 개신교의 일종으로 볼 수 밖에 없도록 하는 이유가 하나 더 있다면, 그 것은 아무래도 예수원 때문일 것이다. 예수원이 예수전도단과 엮이고 대천덕 신부신앙계에서 칼럼을 연재하고 홍성사에서 그의 자서전이나 유고가 출판되다 보니 '한국 개신교의 사상에 큰 역할을 한 예수원은 당연히 개신교일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성공회도 개신교다'라는 느낌이 생기는 것. 하지만 예수원은 성공회 중에서도 개역개정판을 쓰는 예외적인 대전교구 산하 특수선교교회일 뿐이고, 대부분의 대한성공회 교회는 성공회 기도서와 공동번역 성경을 그대로 따르고 있는, 고교회적인 교회들이다.

개요

성공회가 종교개혁 이후 헨리 8세에 의해 시작된것에서부터 보듯이, 영국의 근세사와 함께 시작되어 이후 영국의 정치적 역사를 좌지우지했으며, 따라서 영국의 정치와 사회, 그리고 문화자본을 상당히 차지하고 있는 교회라고 해도 될 것 같다. 실제로 영국 BBC가 2013년에 취임한 새 캔터베리 대주교저스틴 웰비의 착좌식을 전 영국에 TV와 인터넷으로 생중계하고, 이 착좌식에 엘리자베스 2세 여왕 및 왕족들이 당연히 참석하는 걸 보면, 영국을 대표하는 '교회'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실지로 교회 발생 초기에는 영국 왕이 성공회를 좌지우지했으며, 심지어 영국 왕이 만든 KJV 성경은 영국 내에서 제네바 성경을 몰아내겠다는 일념 하에 만들어낸 성경이다, 참고로 이 성경은 개신교를 말아먹는 사상본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사람을 메시아 삼아서 만든 종교를 만든 원동력이 되기도 했다. 지못미

그러나 성공회가 영국만의 교회는 아니다. 물론 성공회는 캔터베리 대주교를 수장으로 하고 있으나[6], 로마 가톨릭과 달리 캔터베리 대주교가 전 교회를 다 지배하는 것이 아니다. 물론 캔터베리 대주교가 관구 설정을 하고, 관구설정이 안된 교회를 관할하기는 한다(그래서 한국관구가 설정되기 전에도 캔터베리 대주교가 한국울 순방하기도 했다). 하지만 관구 교회들은 최근 생겨난 성공회 계약성공회 선교정신만에 동의한다면 그 외의 치리는 알아서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느슨한 연합인 셈이다. 는 왠지 정교회 비슷한 분위기이기도 하지만 말이다. 물론 그렇게만 해서 큰 교회가 유지될 수 없는 부분이 있는 것은 사실이라서, 로마 가톨릭의 공의회 내지 시노드에 대응하는 개념으로 10년마다 한 번씩 램버스 회의라는 것을 한다.

교회 체제적으로는 로마 가톨릭의 기본체인 주교-사제-부제, 2성사+5성사적 예식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고 가톨릭이 쓰는 개정성서공과를 공유하고 있다.[7] 하지만 기혼 사제와 신품성사 후 결혼, 기혼 주교가 허용이 되고, 여성 사제도 있으며, 최근에는 동성애자 사제도 공식 허용하는 등 상황이 산으로 올라가고 있다. 게다가 성공회 감사성찬례에서 만인제사장론을 공식적으로 언급하고, 각 관구마다 감사성찬례 텍스트인 성공회 기도서 텍스트가 서로 다른 만큼[8] 당연히 로마 가톨릭에서 원하는 '어디에 가나 동일한 미사'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위에서 이야기했듯이 가톨릭은 성공회가 교회로 기능하고 있다고 볼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런 의미에서 2009년 교황 베네딕트 16세가 교황령 <성공회 신자 단체>를 발동시켜 '가톨릭으로 오고 싶은 성공회 사제와 신자들을 모두 받아줄게!'라고 하자 당시 캔터베리 대주교였던 로완 윌리엄스 대주교가 당장 반발하는 연설을 교황청에서 한 것만 봐도[9] 나름 싸우는 분위기. 하지만 가톨릭이 개신교를 보는 것과는 달리 종단간 대화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미 가톨릭-성공회 대화위원회 (ARCIC)가 설치되어 활동중에 있고 이를 바탕으로 두 종단이 공동선언을 하기도 했다.[10] 특히 최근 연구과제였던 마리아론과 관련된 논문은 양쪽 모두 다 흡족스러워하는 느낌이다. 일단 보수 가톨릭교리의 수호자(...) 베네딕트 16세가 퇴임하고 교종 프란치스코가 착좌하면서 앞으로의 미래는 미정 상태긴 하지만 초록색 신호등이 켜진 상태. 조금씩 두고 보기로 하자.

165개국에 38개의 관구를 설치하고 있으며, 대한성공회도 이 관구중 하나이다.

역사

헨리 8세부터 웨슬리까지

그리고 현재까지

대한민국의 성공회

이 부분의 본문은 대한성공회입니다.

대한민국의 성공회는

강화도에 가장 큰 세를 지니고 있다. 하긴야 강화도 자체가 개신교와 성공회가 들어와 활발하기 좋은 지형이긴 했는지 몰라도... 문제는 강화도에 교인들이 생기면서 서로 싸우기도 했다는 것. 성공회 교인과 감리교 교인이 싸우는게 한두번이 아니라서 주교와 감독이 마주대고 대화를 하는 등의 모습이 여러번 관찰되기도 하였다.

그러다가 1950년대 이후

주석 및 참고문헌

  1.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
  2. 물론 로마 가톨릭과는 달리 각 관구가 조금씩 예식 내용을 바꿀 수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여러 예식 양식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는 차이가 있다.
  3. Youtube - 2011 CBS 성탄 축하예배, CBS
  4. CBCK,교황청 신앙교리성, 교회에 대한 교리의 몇 가지 측면에 관한 문서 발표, 2007. 7. 10.
  5. 박선영 기자, 교황, 과거로 역주행?, 한국일보. 2007. 07. 11.
  6. 교종이 통솔자인 로마 가톨릭이나 총대주교들이 통솔자인 정교회에 비하면 한 단계 아래기는 하다.
  7. 이해가 안 되시는 분들은 지금 성공회 성서공과가톨릭 매일미사의 독서와 복음 텍스트를 보시기 바란다. 가톨릭 전용 성인 축일+지정축일을 제외하면 100% 맞아떨어진다.
  8. 예를 들어서 대한민국 2004년 성공회 기도서에는 자비송대영광송, 그리고 국내 창작곡인 우리에게 오시어 중 하나만 선택해서 부르게 되어 있다. 미사통상문을 당연히 지키는 가톨릭이라면 상상도 못할 일. 심지어 부활찬송도 한국 작곡자의 곡으로 교체해버렸다. 영국 2000년 새 성공회 기도서에는 부활찬송이 아예 여러가지 '예시' 중에서 선택도 가능하다.
  9. 주낙현 신부, via media - 캔터베리 대주교, 교회 일치 강연 전문
  10. 한국천주교주교회의, 베네딕토 16세와 캔터베리 대주교 로완 윌리엄스의 공동 선언, 2006년 12월 2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