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체화: 두 판 사이의 차이

728 바이트 제거됨 ,  2023년 10월 19일 (목)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39번째 줄: 39번째 줄:
미렐라 플로레스{{s|Mirella Flores}} 등은 객체화 주제에 대한 기존 탐구결과들이 주로 시스젠더의 경험에 집중되어 왔으며, 트렌스젠더 당사자들은 그들이 표출하는 젠더가 역사적으로 무효화되었기 때문에 객체화 담론에서 제외되었다고 주장한다{{Sfn|Flores|Watson|Allen|Ford|2018}}. 예를 들어, 심리학 분야에 드러난 기존의 헤테로규범성은 [[성별불쾌감]]를 정신장애로 개념화한 바 있다{{Sfn|Lev|2013}}. 더 나아가, 미디어애서는 트렌스젠더 당사자를 웃음거리로 묘사해, 트랜스혐오를 영구화할 뿐만 아니라 트렌스젠더 당사자를 낙인화해 왔다{{Sfn|Rood|Reisner|Puckett|Surace|2017}}. 남성성과 여성성이라는 성적지향 기준은 사회에서의 젠더 재현에 삽입되며, 이 젠더[[이항대립|이항]]은 미디어, 또래, 가족, 다른 사회문화적 채널을 통해 전파되어 왔다{{Sfn|Baptista|Himmel|2016}}. 객체화와 사회재현을 통해, 남성성과 여성성과 결합되어 강조된 젠더 신체이미지는 개인의 몸이 이러한 사회문화적 외모 이상형을 고수하도록 하기 위해 객체화를 권장한다{{sfn|Strübel|Sabik|Tylka|2020}}. 객체화 이론이 여성 신체가 외모로서 축소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쓰여오기는 했으나, 트렌스젠더 당사자가 이러한 이상을 그들의 젠더와 일치하기 위해 접근하는지 분석하는 데도 사용할 수 있다{{sfn|Strübel|Sabik|Tylka|2020}}.
미렐라 플로레스{{s|Mirella Flores}} 등은 객체화 주제에 대한 기존 탐구결과들이 주로 시스젠더의 경험에 집중되어 왔으며, 트렌스젠더 당사자들은 그들이 표출하는 젠더가 역사적으로 무효화되었기 때문에 객체화 담론에서 제외되었다고 주장한다{{Sfn|Flores|Watson|Allen|Ford|2018}}. 예를 들어, 심리학 분야에 드러난 기존의 헤테로규범성은 [[성별불쾌감]]를 정신장애로 개념화한 바 있다{{Sfn|Lev|2013}}. 더 나아가, 미디어애서는 트렌스젠더 당사자를 웃음거리로 묘사해, 트랜스혐오를 영구화할 뿐만 아니라 트렌스젠더 당사자를 낙인화해 왔다{{Sfn|Rood|Reisner|Puckett|Surace|2017}}. 남성성과 여성성이라는 성적지향 기준은 사회에서의 젠더 재현에 삽입되며, 이 젠더[[이항대립|이항]]은 미디어, 또래, 가족, 다른 사회문화적 채널을 통해 전파되어 왔다{{Sfn|Baptista|Himmel|2016}}. 객체화와 사회재현을 통해, 남성성과 여성성과 결합되어 강조된 젠더 신체이미지는 개인의 몸이 이러한 사회문화적 외모 이상형을 고수하도록 하기 위해 객체화를 권장한다{{sfn|Strübel|Sabik|Tylka|2020}}. 객체화 이론이 여성 신체가 외모로서 축소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쓰여오기는 했으나, 트렌스젠더 당사자가 이러한 이상을 그들의 젠더와 일치하기 위해 접근하는지 분석하는 데도 사용할 수 있다{{sfn|Strübel|Sabik|Tylka|2020}}.


[[트렌스젠더]] 당사자는 자신의 젠더정체성을 합법화하기 위해 자신의 몸을 계속 모니터링하며 사회의 외모 이상형을 내면화할 수 있다{{sfn|Strübel|Sabik|Tylka|2020}}. 그 과정에서 자신의 상태와 이상간의 격차로 인해 사회수용도가 낮게 머물면서 자기 저평가{{s|devaluation}}와 낙인화, 우울증상이 일어난다{{Sfn|Kosenko|2011}}. 어떤 트렌스젠더는 사회 기준에 맞아 들어가기 위해 이항적 신체이미지를 수용하고 이를 향해 나가야만 할 듯한 느낌을 받는다{{Sfn|Brewster|Velez|Breslow|Geiger|2019}}. 객체화는 젠더정체성을 무시하고 성전환한 사람을 젠더의 이상적 표현에 기반해 분류한다. 객체화는 사회적 인정을 통해 자신의 젠더정체성을 확증하고 표현하고자 하는 개인에게 문제이자 솔루션이 된다{{Sfn|Sevelius|2013}}. 이상적 남성의 물리적 특성에는 근육이나 강건한 묘사가 들어가 있으며 트렌스젠더 남성은 과도한 운동과 스테로이드 주입을 통해 이 기준에 맞추려고 할 수 있다. 트렌스젠더 여성도 자신의 몸이 과섹슈얼화된 신체로 줄어드는 듯한 시스젠더 여성과 같은 객체화를 경험할 수 있다{{Sfn|Brewster|Velez|Breslow|Geiger|2019}}.
[[트렌스젠더]] 당사자는 자신의 젠더정체성을 합법화하기 위해 자신의 몸을 계속 모니터링하며 사회의 외모 이상형을 내면화할 수 있다{{sfn|Strübel|Sabik|Tylka|2020}}. 그 과정에서 자신의 상태와 이상간의 격차로 인해 사회수용도가 낮게 머물면서 자기 저평가{{s|devaluation}}와 낙인화, 우울증상이 일어난다{{Sfn|Kosenko|2011}}. 어떤 트렌스젠더는 사회 기준에 맞아 들어가기 위해 이항적 신체이미지를 수용하고 이를 향해 나가야만 할 듯한 느낌을 받는다{{Sfn|Brewster|Velez|Breslow|Geiger|2019}}. 객체화는 젠더정체성을 무시하고 성전환한 사람을 젠더의 이상적 표현에 기반해 분류한다. 객체화는 사회적 인정을 통해 자신의 젠더정체성을 확증하고 표현하고자 하는 개인에게 문제이자 솔루션이 된다{{Sfn|Sevelius|2013}}. 이상적 남성의 물리적 특성에는 근육이나 강건한 묘사가 들어가 있으며 트렌스젠더 남성은 과도한 운동과 스테로이드 주입을 통해 이 기준에 맞추려고 할 수 있다. 트렌스젠더 여성도 자신의 몸이 과섹슈얼화된 신체로 줄어드는 듯한 시스젠더 여성과 같은 객체화를 경험할 수 있다{{Sfn|Brewster|Velez|Breslow|Geiger|2019}}. 트렌스젠더 개인은 자신의 젠더 정체성 확증하기 위해 부작용 가능성이 높은 실리콘을 불법주입하거나, 성노동에 참여해 [[성전파 질환]] 위험이 높아진다{{Sfn|Sevelius|2013}}. 더 나아가, 외모(키나 몸구조)가 젠더적 이상과 불일치할수록 트렌스젠더 개인의 젠더정체성은 방해되고, 의학적 개입 이후에도 그들은 사회 기준에 맞지 않는다고 느낄 수 있다{{Sfn|Brewster|Velez|Breslow|Geiger|2019}}. 트렌스젠더 개인은 전형성을 확증하는 행위를 유발하기 위해 쓰이는 ‘트렌스젠더 창녀’와 같이 [[성적 대상화]]를 통해 고착된 부정적 전형성을 내면화할 수 있으며, 이는 낮은 자기만족감, 자기저평가, 무가치하다는 느낌, 더 나아가 [[자살]]과도 연결될 수 있다{{Sfn|Kosenko|2011}}.
 
<!--Objectification ignores gender identity and categorizes individuals based on the ideal expression of gender which affects transitioned men and transitioned women.[14] Objectification becomes a problem and solution for individuals attempting to affirm their gender identity and expression through social recognition.[15] The ideal male physical attractiveness includes the portrayal of muscle and robustness and transgender men can attempt to conform to the standard through compulsive exercise and steroid injection.[14] Transgender women experience similar objectification as cisgender women do according to the reduction of one's self to a mere hypersexualized body [14] Transgender individuals may attempt to affirm their gender identity through illegal practices such as using silicone injections that eventually results in harmful health consequences[15] Furthermore, transgender individuals may seek gender affirmation through sex work, increasing the risk of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15] The discrepancy of appearance (e.g., height and body structure) may impede transgender individuals' alignment with their gender identity and they do not feel as if they fit the social standards even after medical interventions.[14] Transgender individuals may internalize the negative stereotypes perpetuated through sexual objectification such as "transgender prostitute" which has been found to induce stereotype affirming behaviors.[12] Internalization of negative stereotypes have been linked to low self-esteem, devaluation, feelings of worthlessness and in the worst case, suicide.[12]-->


== 다른 학문에서의 사용 ==
== 다른 학문에서의 사용 ==
69번째 줄: 67번째 줄:
* {{저널 인용|성=Strübel|이름=Jessica|성2=Sabik|이름2=Natalie J.|성3=Tylka|이름3=Tracy L.|날짜=2020-12-01|제목=Body image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transgender and cisgender adults: Examining a model integrating the tripartite influence model and objectification theory|저널=Body Image|권=35|쪽=53–62| doi=10.1016/j.bodyim.2020.08.004|ISSN=1740-1445|PMID=32846389|S2CID=221347929|언어고리=en|ref=CITEREFStrübelSabikTylka2020}}
* {{저널 인용|성=Strübel|이름=Jessica|성2=Sabik|이름2=Natalie J.|성3=Tylka|이름3=Tracy L.|날짜=2020-12-01|제목=Body image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transgender and cisgender adults: Examining a model integrating the tripartite influence model and objectification theory|저널=Body Image|권=35|쪽=53–62| doi=10.1016/j.bodyim.2020.08.004|ISSN=1740-1445|PMID=32846389|S2CID=221347929|언어고리=en|ref=CITEREFStrübelSabikTylka2020}}


{{번역중|Objectification}}
{{EWP|Object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