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체화: 두 판 사이의 차이

77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10월 11일 (수)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5번째 줄: 5번째 줄:


#도구성{{s|instrumentality}} ― 다른이가 어떤 사람을 목적을 위한 도구로 다루는 것
#도구성{{s|instrumentality}} ― 다른이가 어떤 사람을 목적을 위한 도구로 다루는 것
#자율성 부인{{s|denial of autonomy}} ― 어떤 사람에게 자율성이나 자기결정권이 없는 것처럼 다루는 것
#자율성 부인{{s|denial of autonomy}} ― 어떤 사람이 자율성이나 자기결정권이 없는 것처럼 다루는 것
#부동성{{s|inertness}} ― 사람에게 행위능력{{s|agency}}이나 행동이 없다고 다루는 것
#부동성{{s|inertness}} ― 사람에게 행위능력{{s|agency}}이나 행동이 없다고 다루는 것
#교체성{{s|fungibility}} ― 어떤 사람이 다른 객체를 대체할 수 있다고 다루는 것
#교체성{{s|fungibility}} ― 어떤 사람이 다른 객체를 대체할 수 있다고 다루는 것
25번째 줄: 25번째 줄:
[[캐서린 맥키넌]]{{s|Mackinnon}}과 [[안드레아 드워킨]]{{s|Dworkin}}은 칸트의 이해를 채택헤 성의 선천적인 객체화 경향을 인정하지만 객체화의 관여자는 객체화수행자이면서도 객체화되는 대상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남성과 여성이 각각 섹슈얼리티를 표현하는 방식이 더 넓은 사회문화적 맥락에 의해 틀지어져 있고 남여간 권력이 평등하지 않기 때문에, 남성과 여성의 객체화가 불균형적이라고 주장했다. 섹슈얼리티를 표현할 때 남성의 경우 여성을 객체화해 지배화하는 방식을 표출하는 반면 여성은 이를 객체화되거나 자기객체화{{s|Self-objectification}}하는 순종적 방식으로 표출한다. 이 때 여성은 폭력성에 더욱 취약하지며 주체성과 자율성을 잃는다. 이에 대해 누스바움은 맥키넌과 드워킨이 윤리적으로 동등하게 중요한 개인사나 심리학 등을 무시한다며 남-여 섹슈얼리티를 더욱 거시적 관점에서 봐야 한다고 주장한다.
[[캐서린 맥키넌]]{{s|Mackinnon}}과 [[안드레아 드워킨]]{{s|Dworkin}}은 칸트의 이해를 채택헤 성의 선천적인 객체화 경향을 인정하지만 객체화의 관여자는 객체화수행자이면서도 객체화되는 대상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남성과 여성이 각각 섹슈얼리티를 표현하는 방식이 더 넓은 사회문화적 맥락에 의해 틀지어져 있고 남여간 권력이 평등하지 않기 때문에, 남성과 여성의 객체화가 불균형적이라고 주장했다. 섹슈얼리티를 표현할 때 남성의 경우 여성을 객체화해 지배화하는 방식을 표출하는 반면 여성은 이를 객체화되거나 자기객체화{{s|Self-objectification}}하는 순종적 방식으로 표출한다. 이 때 여성은 폭력성에 더욱 취약하지며 주체성과 자율성을 잃는다. 이에 대해 누스바움은 맥키넌과 드워킨이 윤리적으로 동등하게 중요한 개인사나 심리학 등을 무시한다며 남-여 섹슈얼리티를 더욱 거시적 관점에서 봐야 한다고 주장한다.


[[남성적 응시]]는 자기객체화의 주요 구현요소 중 하나이다. 특히 [[소셜미디어]]가 여성의 자기객체화를 크게 밀어붙인다는 주장이 있다. 여성은 [[다른이]]의 시선을 내면화하며, 따라서 바깥의 시선을 내면적으로 받아들이기 시작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소셜미디어에 올리기 위해 셀카 사진을 찍을 때 여성은 남성적 응시적 관점을 유형화한 카매라 각도를 취한다{{Sfn|Cohen|Newton-John|Slater|2018}}.
[[남성적 응시]]는 자기객체화의 주요 구현요소 중 하나이다. 특히 [[소셜미디어]]가 여성의 자기객체화를 크게 밀어붙인다는 주장이 있다. 여성은 [[다른이]]의 시선을 내면화하며, 따라서 바깥의 시선을 내면적으로 받아들이기 시작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소셜미디어에 올리기 위해 셀카 사진을 찍을 때 여성은 남성적 응시적 관점이 유형화된 각도에 따라 폰을 움직인다{{Sfn|Cohen|Newton-John|Slater|2018}}. 포스트의 댓글란을 통해 올라오는 사진에 대한 비난이나 칭찬, 공유는 셀피를 올린 여성에게 감성적 반응을 일으켜 자기객체화를 더 부추긴다{{Sfn|Cohen|Newton-John|Slater|2018}}.
 
<!--
The comment section enables the self-objectification more, by letting people shame or praise the picture.[4] The likes and shares bring a sense of validation to women who post these selfies.[4]
-->


== 페미니즘의 객체화 이론 ==
== 페미니즘의 객체화 이론 ==
바바라 프레드릭슨{{s|Barbara Fredrickson}}과 토미앤 로버츠{{s|Tomi-Ann Roberts}}의 객체화 이론은 여성이나 소녀의 객체화가 결국 불안감이나 [[자의식]] 증대를 이끌 수 있다고 지적한다. 여성은 즉각적으로 사회가 부여한 상태를 내면화할 것으로 기대되며, 그 결과를 자신의 주된 관점으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 The objectification theory as proposed by Barbara Fredrickson and Tomi-Ann Roberts states that the objectification of a woman or a girl can eventually lead to an increased feeling of anxiety or self-awareness. The woman supposedly immediately internalizes the status that the society has given to her and sees this outcome as a primary view of herself.
<!--  
 
Fredrickson and Roberts argue that in some way, the objectification of women can even affect the mental health of the female.[5] The perspective of the public imposed on the female body can lead to body monitoring and obsessive eating patterns which will eventually lead into an internal feeling of shame or anxiety. Fredrickson and Roberts argue that influences from the new wave feminists and scholars have put the female body in a sociocultural perspective. This has emphasised the sociocultural representation of the female body over the biological role. They argue that the one should not be overshadowed by the other, as it is the combined effect that has created a social construction behind the body image.-->
Fredrickson and Roberts argue that in some way, the objectification of women can even affect the mental health of the female.[5] The perspective of the public imposed on the female body can lead to body monitoring and obsessive eating patterns which will eventually lead into an internal feeling of shame or anxiety. Fredrickson and Roberts argue that influences from the new wave feminists and scholars have put the female body in a sociocultural perspective. This has emphasised the sociocultural representation of the female body over the biological role. They argue that the one should not be overshadowed by the other, as it is the combined effect that has created a social construction behind the body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