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39번째 줄: | 39번째 줄: | ||
미렐라 플로레스{{s|Mirella Flores}} 등은 객체화 주제에 대한 기존 탐구결과들이 주로 시스젠더의 경험에 집중되어 왔으며, 트렌스젠더 당사자들은 그들이 표출하는 젠더가 역사적으로 무효화되었기 때문에 객체화 담론에서 제외되었다고 주장한다{{Sfn|Flores|Watson|Allen|Ford|2018}}. 예를 들어, 심리학 분야에 드러난 기존의 헤테로규범성은 [[성별불쾌감]]를 정신장애로 개념화한 바 있다{{Sfn|Lev|2013}}. 더 나아가, 미디어애서는 트렌스젠더 당사자를 웃음거리로 묘사해, 트랜스혐오를 영구화할 뿐만 아니라 트렌스젠더 당사자를 낙인화해 왔다{{Sfn|Rood|Reisner|Puckett|Surace|2017}}. 남성성과 여성성이라는 성적지향 기준은 사회에서의 젠더 재현에 삽입되며, 이 젠더[[이항대립|이항]]은 미디어, 또래, 가족, 다른 사회문화적 채널을 통해 전파되어 왔다{{Sfn|Baptista|Himmel|2016}}. 객체화와 사회재현을 통해, 남성성과 여성성과 결합되어 강조된 젠더 신체이미지는 개인의 몸이 이러한 사회문화적 외모 이상형을 고수하도록 하기 위해 객체화를 권장한다{{sfn|Strübel|Sabik|Tylka|2020}}. 객체화 이론이 여성 신체가 외모로서 축소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쓰여오기는 했으나, 트렌스젠더 당사자가 이러한 이상을 그들의 젠더와 일치하기 위해 접근하는지 분석하는 데도 사용할 수 있다{{sfn|Strübel|Sabik|Tylka|2020}}. | 미렐라 플로레스{{s|Mirella Flores}} 등은 객체화 주제에 대한 기존 탐구결과들이 주로 시스젠더의 경험에 집중되어 왔으며, 트렌스젠더 당사자들은 그들이 표출하는 젠더가 역사적으로 무효화되었기 때문에 객체화 담론에서 제외되었다고 주장한다{{Sfn|Flores|Watson|Allen|Ford|2018}}. 예를 들어, 심리학 분야에 드러난 기존의 헤테로규범성은 [[성별불쾌감]]를 정신장애로 개념화한 바 있다{{Sfn|Lev|2013}}. 더 나아가, 미디어애서는 트렌스젠더 당사자를 웃음거리로 묘사해, 트랜스혐오를 영구화할 뿐만 아니라 트렌스젠더 당사자를 낙인화해 왔다{{Sfn|Rood|Reisner|Puckett|Surace|2017}}. 남성성과 여성성이라는 성적지향 기준은 사회에서의 젠더 재현에 삽입되며, 이 젠더[[이항대립|이항]]은 미디어, 또래, 가족, 다른 사회문화적 채널을 통해 전파되어 왔다{{Sfn|Baptista|Himmel|2016}}. 객체화와 사회재현을 통해, 남성성과 여성성과 결합되어 강조된 젠더 신체이미지는 개인의 몸이 이러한 사회문화적 외모 이상형을 고수하도록 하기 위해 객체화를 권장한다{{sfn|Strübel|Sabik|Tylka|2020}}. 객체화 이론이 여성 신체가 외모로서 축소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쓰여오기는 했으나, 트렌스젠더 당사자가 이러한 이상을 그들의 젠더와 일치하기 위해 접근하는지 분석하는 데도 사용할 수 있다{{sfn|Strübel|Sabik|Tylka|2020}}. | ||
[[트렌스젠더]] 당사자는 자신의 젠더정체성을 합법화하기 위해 자신의 몸을 계속 모니터링하며 사회의 외모 이상형을 내면화할 수 있다{{sfn|Strübel|Sabik|Tylka|2020}}. 그 과정에서 자신의 상태와 이상간의 격차로 인해 사회수용도가 낮게 머물면서 자기 저평가{{s|devaluation}}와 낙인화, 우울증상이 일어난다{{Sfn|Kosenko|2011}}. 어떤 트렌스젠더는 사회 기준에 맞아 들어가기 위해 이항적 신체이미지를 수용하고 이를 향해 나가야만 할 듯한 느낌을 받는다{{Sfn|Brewster|Velez|Breslow|Geiger|2019}}. 객체화는 젠더정체성을 무시하고 성전환한 사람을 젠더의 이상적 표현에 기반해 분류한다. 객체화는 사회적 인정을 통해 자신의 젠더정체성을 확증하고 표현하고자 하는 개인에게 문제이자 솔루션이 된다{{Sfn|Sevelius|2013}}. 이상적 남성의 물리적 특성에는 근육이나 강건한 묘사가 들어가 있으며 트렌스젠더 남성은 과도한 운동과 스테로이드 주입을 통해 이 기준에 맞추려고 할 수 있다. 트렌스젠더 여성도 자신의 몸이 과섹슈얼화된 신체로 줄어드는 듯한 시스젠더 여성과 같은 객체화를 경험할 수 있다{{Sfn|Brewster|Velez|Breslow|Geiger|2019}}. | [[트렌스젠더]] 당사자는 자신의 젠더정체성을 합법화하기 위해 자신의 몸을 계속 모니터링하며 사회의 외모 이상형을 내면화할 수 있다{{sfn|Strübel|Sabik|Tylka|2020}}. 그 과정에서 자신의 상태와 이상간의 격차로 인해 사회수용도가 낮게 머물면서 자기 저평가{{s|devaluation}}와 낙인화, 우울증상이 일어난다{{Sfn|Kosenko|2011}}. 어떤 트렌스젠더는 사회 기준에 맞아 들어가기 위해 이항적 신체이미지를 수용하고 이를 향해 나가야만 할 듯한 느낌을 받는다{{Sfn|Brewster|Velez|Breslow|Geiger|2019}}. 객체화는 젠더정체성을 무시하고 성전환한 사람을 젠더의 이상적 표현에 기반해 분류한다. 객체화는 사회적 인정을 통해 자신의 젠더정체성을 확증하고 표현하고자 하는 개인에게 문제이자 솔루션이 된다{{Sfn|Sevelius|2013}}. 이상적 남성의 물리적 특성에는 근육이나 강건한 묘사가 들어가 있으며 트렌스젠더 남성은 과도한 운동과 스테로이드 주입을 통해 이 기준에 맞추려고 할 수 있다. 트렌스젠더 여성도 자신의 몸이 과섹슈얼화된 신체로 줄어드는 듯한 시스젠더 여성과 같은 객체화를 경험할 수 있다{{Sfn|Brewster|Velez|Breslow|Geiger|2019}}. 트렌스젠더 개인은 자신의 젠더 정체성 확증하기 위해 부작용 가능성이 높은 실리콘을 불법주입하거나, 성노동에 참여해 [[성전파 질환]] 위험이 높아진다{{Sfn|Sevelius|2013}}. 더 나아가, 외모(키나 몸구조)가 젠더적 이상과 불일치할수록 트렌스젠더 개인의 젠더정체성은 방해되고, 의학적 개입 이후에도 그들은 사회 기준에 맞지 않는다고 느낄 수 있다{{Sfn|Brewster|Velez|Breslow|Geiger|2019}}. 트렌스젠더 개인은 전형성을 확증하는 행위를 유발하기 위해 쓰이는 ‘트렌스젠더 창녀’와 같이 [[성적 대상화]]를 통해 고착된 부정적 전형성을 내면화할 수 있으며, 이는 낮은 자기만족감, 자기저평가, 무가치하다는 느낌, 더 나아가 [[자살]]과도 연결될 수 있다{{Sfn|Kosenko|2011}}. | ||
== 다른 학문에서의 사용 == | == 다른 학문에서의 사용 == | ||
69번째 줄: | 67번째 줄: | ||
* {{저널 인용|성=Strübel|이름=Jessica|성2=Sabik|이름2=Natalie J.|성3=Tylka|이름3=Tracy L.|날짜=2020-12-01|제목=Body image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transgender and cisgender adults: Examining a model integrating the tripartite influence model and objectification theory|저널=Body Image|권=35|쪽=53–62| doi=10.1016/j.bodyim.2020.08.004|ISSN=1740-1445|PMID=32846389|S2CID=221347929|언어고리=en|ref=CITEREFStrübelSabikTylka2020}} | * {{저널 인용|성=Strübel|이름=Jessica|성2=Sabik|이름2=Natalie J.|성3=Tylka|이름3=Tracy L.|날짜=2020-12-01|제목=Body image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transgender and cisgender adults: Examining a model integrating the tripartite influence model and objectification theory|저널=Body Image|권=35|쪽=53–62| doi=10.1016/j.bodyim.2020.08.004|ISSN=1740-1445|PMID=32846389|S2CID=221347929|언어고리=en|ref=CITEREFStrübelSabikTylka2020}} | ||
{{ | {{EWP|Objectif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