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글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37번째 줄: | 37번째 줄: | ||
[[성적대상화]] 경험은 개인의 교차정체성 표식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Sfn|Flores|Watson|Allen|Ford|2018}}. 교차적 접근을 활용하면 트랜스젠더 정체성에 따른 객체화 구성에 대한 이해를 심화할 수 있다. 트렌스젠더 당사자는 자기정체성 해석에 있어서 독특한 어려움을 겪는다. | [[성적대상화]] 경험은 개인의 교차정체성 표식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Sfn|Flores|Watson|Allen|Ford|2018}}. 교차적 접근을 활용하면 트랜스젠더 정체성에 따른 객체화 구성에 대한 이해를 심화할 수 있다. 트렌스젠더 당사자는 자기정체성 해석에 있어서 독특한 어려움을 겪는다. | ||
미렐라 플로레스{{s|Mirella Flores}} 등은 객체화 주제에 대한 기존 탐구결과들이 주로 시스젠더의 경험에 집중되어 왔으며, 트렌스젠더 당사자들은 그들이 표출하는 젠더가 역사적으로 무효화되었기 때문에 객체화 담론에서 제외되었다고 주장한다{{Sfn|Flores|Watson|Allen|Ford|2018}}. 예를 들어, 심리학 분야에 드러난 기존의 헤테로규범성은 [[성별불쾌감]]를 정신장애로 개념화한 바 있다{{Sfn|Lev|2013}}. 더 나아가, 미디어애서는 트렌스젠더 당사자를 웃음거리로 묘사해, 트랜스혐오를 영구화할 뿐만 아니라 트렌스젠더 당사자를 낙인화해 왔다{{Sfn|Rood|Reisner|Puckett|Surace|2017}}. 남성성과 여성성이라는 성적지향 기준은 사회에서의 젠더 재현에 삽입되며, 이 | 미렐라 플로레스{{s|Mirella Flores}} 등은 객체화 주제에 대한 기존 탐구결과들이 주로 시스젠더의 경험에 집중되어 왔으며, 트렌스젠더 당사자들은 그들이 표출하는 젠더가 역사적으로 무효화되었기 때문에 객체화 담론에서 제외되었다고 주장한다{{Sfn|Flores|Watson|Allen|Ford|2018}}. 예를 들어, 심리학 분야에 드러난 기존의 헤테로규범성은 [[성별불쾌감]]를 정신장애로 개념화한 바 있다{{Sfn|Lev|2013}}. 더 나아가, 미디어애서는 트렌스젠더 당사자를 웃음거리로 묘사해, 트랜스혐오를 영구화할 뿐만 아니라 트렌스젠더 당사자를 낙인화해 왔다{{Sfn|Rood|Reisner|Puckett|Surace|2017}}. 남성성과 여성성이라는 성적지향 기준은 사회에서의 젠더 재현에 삽입되며, 이 젠더[[이항대립|이항]]은 미디어, 또래, 가족, 다른 사회문화적 채널을 통해 전파되어 왔다. 객체화와 사회재현을 통해, 남성성과 여성성과 결합되어 강조된 젠더 신체이미지는 개인의 몸이 이러한 사회문화적 외모 이상형을 고수하도록 하기 위해 객체화를 권장한다. 객체화 이론이 여성 신체가 외모로서 축소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쓰여오기는 했으나, 트렌스젠더 당사자가 이러한 이상을 그들의 젠더와 일치하기 위해 접근하는지 분석하는 데도 사용할 수 있다. | ||
[[트렌스젠더]] 당사자는 자신의 젠더정체성을 합법화하기 위해 자신의 몸을 계속 모니터링하며 사회의 외모 이상형을 내면화할 수 있다. 그 과정에서 자신의 상태와 이상간의 격차로 인해 사회수용도가 낮게 머물면서 자기 저평가{{s|devaluation}}와 낙인화가 일어난다. 어떤 트렌스젠더는 사회 기준에 맞아 들어가기 위해 이항적 신체이미지를 수용하고 이를 향해 나가야만 할 듯한 느낌을 받는다. 객체화는 젠더정체성을 무시하고 개인을 젠더의 이상적 표현에 기반해 분류한다. | |||
<!-- Sexual orientation standards are inserted into social representations of gender as either masculine or feminine and this gender binary has been propagated through the media, peers, family, and other socio-cultural channels.[10] Through objectification and social representation, exaggerated body image ideals associated with masculinity and femininity encourage the objectification of one's body in order to adhere to these socio-cultural appearance ideals.[11] Although the theory of objectification was originally used to explain how the female body is reduced to its appearance, it can be used to analyze how transgender individuals approximate these ideals to be consistent with their gender.[11] | <!-- Sexual orientation standards are inserted into social representations of gender as either masculine or feminine and this gender binary has been propagated through the media, peers, family, and other socio-cultural channels.[10] Through objectification and social representation, exaggerated body image ideals associated with masculinity and femininity encourage the objectification of one's body in order to adhere to these socio-cultural appearance ideals.[11] Although the theory of objectification was originally used to explain how the female body is reduced to its appearance, it can be used to analyze how transgender individuals approximate these ideals to be consistent with their gender.[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