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체화: 두 판 사이의 차이

3,644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10월 20일 (금)
잔글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객체화''', 또는 '''대상화'''({{llang|en|Objectification}})는 나와 다른 사람이나 모임, 종족 등의 집단이 가진 [[비인간화|사람됨을 부정하고]], 이를 객체나 물건으로 취급하는 의도를 가지고 이를 실천하는 행위이다. 이 개념의 하위 개념으로, 자신을 객체화하는 자발적 객체화(self-objectification)와 사람을 성적 욕구 충족을 위한 객체만으로 다루는 '''성적 객체화'''(Sexual objectification)가 있다. 특히 [[맑시즘]]에서는 사회관계의 객체화를 [[물화]]로 다룬다.
'''객체화''', '''대상화''', 또는 '''타자화'''({{llang|en|Objectification}})는 나와 다른 사람이나 모임, 종족 등의 집단이 가진 [[비인간화|사람됨을 부정하고]], 이를 객체나 물건으로 취급하는 의도를 가지고 이를 실천하는 행위이다. 이 개념의 하위 개념으로, 자신을 객체화하는 자발적 객체화(self-objectification)와 사람을 성적 욕구 충족을 위한 객체만으로 다루는 '''[[성적대상화]]'''(Sexual objectification)가 있다. 특히 [[맑시즘]]에서는 사회관계의 객체화를 [[물화]]로 다룬다.


== 정의 ==
== 정의 ==
25번째 줄: 25번째 줄:
[[캐서린 맥키넌]]{{s|Mackinnon}}과 [[안드레아 드워킨]]{{s|Dworkin}}은 칸트의 이해를 채택헤 성의 선천적인 객체화 경향을 인정하지만 객체화의 관여자는 객체화수행자이면서도 객체화되는 대상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남성과 여성이 각각 섹슈얼리티를 표현하는 방식이 더 넓은 사회문화적 맥락에 의해 틀지어져 있고 남여간 권력이 평등하지 않기 때문에, 남성과 여성의 객체화가 불균형적이라고 주장했다. 섹슈얼리티를 표현할 때 남성의 경우 여성을 객체화해 지배화하는 방식을 표출하는 반면 여성은 이를 객체화되거나 자기객체화{{s|Self-objectification}}하는 순종적 방식으로 표출한다. 이 때 여성은 폭력성에 더욱 취약하지며 주체성과 자율성을 잃는다. 이에 대해 누스바움은 맥키넌과 드워킨이 윤리적으로 동등하게 중요한 개인사나 심리학 등을 무시한다며 남-여 섹슈얼리티를 더욱 거시적 관점에서 봐야 한다고 주장한다.
[[캐서린 맥키넌]]{{s|Mackinnon}}과 [[안드레아 드워킨]]{{s|Dworkin}}은 칸트의 이해를 채택헤 성의 선천적인 객체화 경향을 인정하지만 객체화의 관여자는 객체화수행자이면서도 객체화되는 대상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남성과 여성이 각각 섹슈얼리티를 표현하는 방식이 더 넓은 사회문화적 맥락에 의해 틀지어져 있고 남여간 권력이 평등하지 않기 때문에, 남성과 여성의 객체화가 불균형적이라고 주장했다. 섹슈얼리티를 표현할 때 남성의 경우 여성을 객체화해 지배화하는 방식을 표출하는 반면 여성은 이를 객체화되거나 자기객체화{{s|Self-objectification}}하는 순종적 방식으로 표출한다. 이 때 여성은 폭력성에 더욱 취약하지며 주체성과 자율성을 잃는다. 이에 대해 누스바움은 맥키넌과 드워킨이 윤리적으로 동등하게 중요한 개인사나 심리학 등을 무시한다며 남-여 섹슈얼리티를 더욱 거시적 관점에서 봐야 한다고 주장한다.


[[남성적 응시]]는 자기객체화의 주요 구현요소 중 하나이다. 특히 [[소셜미디어]]가 여성의 자기객체화를 크게 밀어붙인다는 주장이 있다. 여성은 [[다른이]]의 시선을 내면화하며, 따라서 바깥의 시선을 내면적으로 받아들이기 시작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소셜미디어에 올리기 위해 셀카 사진을 찍을 때 여성은 남성적 응시적 관점이 유형화된 각도에 따라 폰을 움직인다{{Sfn|Cohen|Newton-John|Slater|2018}}. 포스트의 댓글란을 통해 올라오는 사진에 대한 비난이나 칭찬, 공유는 셀피를 올린 여성에게 감성적 반응을 일으켜 자기객체화를 더 부추긴다{{Sfn|Cohen|Newton-John|Slater|2018}}.
[[남성적 응시]]는 자기객체화의 주요 구현요소 중 하나이다. 여성은 [[다른이]]의 시선을 내면화하며, 따라서 바깥의 시선을 내면적으로 받아들이기 시작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소셜미디어에 올리기 위해 셀카 사진을 찍을 때 여성은 남성적 응시적 관점이 유형화된 각도에 따라 폰을 움직인다{{Sfn|Cohen|Newton-John|Slater|2018}}. 포스트의 댓글란을 통해 올라오는 사진에 대한 비난이나 칭찬, 공유는 셀피를 올린 여성에게 감성적 반응을 일으켜 자기객체화를 더 부추긴다{{Sfn|Cohen|Newton-John|Slater|2018}}{{Sfn|Bell|Cassarly|Dunbar|2018}}. 특히 [[소셜미디어]]에 셀카를 더 올릴 수록 여성의 자기객체화가 심해지고, 이에 따라 [[폭식]] 등 섭식장애를 부추기게 된다는 유의한(p<.001) 근거가 있다{{Sfn|Cohen|Newton-John|Slater|2018|p=71}}.  


== 페미니즘의 객체화 이론 ==
== 페미니즘의 객체화 이론 ==
37번째 줄: 37번째 줄:
[[성적대상화]] 경험은 개인의 교차정체성 표식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Sfn|Flores|Watson|Allen|Ford|2018}}. 교차적 접근을 활용하면 트랜스젠더 정체성에 따른 객체화 구성에 대한 이해를 심화할 수 있다. 트렌스젠더 당사자는 자기정체성 해석에 있어서 독특한 어려움을 겪는다.
[[성적대상화]] 경험은 개인의 교차정체성 표식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Sfn|Flores|Watson|Allen|Ford|2018}}. 교차적 접근을 활용하면 트랜스젠더 정체성에 따른 객체화 구성에 대한 이해를 심화할 수 있다. 트렌스젠더 당사자는 자기정체성 해석에 있어서 독특한 어려움을 겪는다.


미렐라 플로레스{{s|Mirella Flores}} 등은 객체화 주제에 대한 기존 탐색결과들이 시스젠더의 경험에 주로 집중되어 왔으며, 트렌스젠더 당사자들은 그들이 표출하는 제더가 역사적으로 무효화되었기 때문에 객체화 담론에서 제외되었다고 주장한다{{Sfn|Flores|Watson|Allen|Ford|2018}}.  
미렐라 플로레스{{s|Mirella Flores}} 등은 객체화 주제에 대한 기존 탐구결과들이 주로 시스젠더의 경험에 집중되어 왔으며, 트렌스젠더 당사자들은 그들이 표출하는 젠더가 역사적으로 무효화되었기 때문에 객체화 담론에서 제외되었다고 주장한다{{Sfn|Flores|Watson|Allen|Ford|2018}}. 예를 들어, 심리학 분야에 드러난 기존의 헤테로규범성은 [[성별불쾌감]]를 정신장애로 개념화한 바 있다{{Sfn|Lev|2013}}. 더 나아가, 미디어애서는 트렌스젠더 당사자를 웃음거리로 묘사해, 트랜스혐오를 영구화할 뿐만 아니라 트렌스젠더 당사자를 낙인화해 왔다{{Sfn|Rood|Reisner|Puckett|Surace|2017}}. 남성성과 여성성이라는 성적지향 기준은 사회에서의 젠더 재현에 삽입되며, 이 젠더[[이항대립|이항]]은 미디어, 또래, 가족, 다른 사회문화적 채널을 통해 전파되어 왔다{{Sfn|Baptista|Himmel|2016}}. 객체화와 사회재현을 통해, 남성성과 여성성과 결합되어 강조된 젠더 신체이미지는 개인의 몸이 이러한 사회문화적 외모 이상형을 고수하도록 하기 위해 객체화를 권장한다{{sfn|Strübel|Sabik|Tylka|2020}}. 객체화 이론이 여성 신체가 외모로서 축소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쓰여오기는 했으나, 트렌스젠더 당사자가 이러한 이상을 그들의 젠더와 일치하기 위해 접근하는지 분석하는 데도 사용할 수 있다{{sfn|Strübel|Sabik|Tylka|2020}}.
<!-- For example, the traditional heteronormativity displayed in the field of psychology has previously enabled the conceptualization of gender non-conformity as a mental disorder.[8] Furthermore, representations of transgender individuals in the media have portrayed them as comic relief, perpetuating transphobia, and further stigmatizing transgender individuals.[9] Sexual orientation standards are inserted into social representations of gender as either masculine or feminine and this gender binary has been propagated through the media, peers, family, and other socio-cultural channels.[10] Through objectification and social representation, exaggerated body image ideals associated with masculinity and femininity encourage the objectification of one's body in order to adhere to these socio-cultural appearance ideals.[11] Although the theory of objectification was originally used to explain how the female body is reduced to its appearance, it can be used to analyze how transgender individuals approximate these ideals to be consistent with their gender.[11]


The low level of social acceptance of transgender individuals provokes devaluation and stigmatization.[12] Transgender individuals may internalize societal appearance ideals through body monitoring and comparison in order to legitimize their gender identity.[11] Some transgender individuals feel as if they must adopt the binary body image and act towards it in order to fit into societal standards.[13] Objectification ignores gender identity and categorizes individuals based on the ideal expression of gender which affects transitioned men and transitioned women.[14] Objectification becomes a problem and solution for individuals attempting to affirm their gender identity and expression through social recognition.[15] The ideal male physical attractiveness includes the portrayal of muscle and robustness and transgender men can attempt to conform to the standard through compulsive exercise and steroid injection.[14] Transgender women experience similar objectification as cisgender women do according to the reduction of one's self to a mere hypersexualized body [14] Transgender individuals may attempt to affirm their gender identity through illegal practices such as using silicone injections that eventually results in harmful health consequences[15] Furthermore, transgender individuals may seek gender affirmation through sex work, increasing the risk of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15] The discrepancy of appearance (e.g., height and body structure) may impede transgender individuals' alignment with their gender identity and they do not feel as if they fit the social standards even after medical interventions.[14] Transgender individuals may internalize the negative stereotypes perpetuated through sexual objectification such as "transgender prostitute" which has been found to induce stereotype affirming behaviors.[12] Internalization of negative stereotypes have been linked to low self-esteem, devaluation, feelings of worthlessness and in the worst case, suicide.[12]-->
[[트렌스젠더]] 당사자는 자신의 젠더정체성을 합법화하기 위해 자신의 몸을 계속 모니터링하며 사회의 외모 이상형을 내면화할 수 있다{{sfn|Strübel|Sabik|Tylka|2020}}. 그 과정에서 자신의 상태와 이상간의 격차로 인해 사회수용도가 낮게 머물면서 자기 저평가{{s|devaluation}}와 낙인화, 우울증상이 일어난다{{Sfn|Kosenko|2011}}. 어떤 트렌스젠더는 사회 기준에 맞아 들어가기 위해 이항적 신체이미지를 수용하고 이를 향해 나가야만 할 듯한 느낌을 받는다{{Sfn|Brewster|Velez|Breslow|Geiger|2019}}. 객체화는 젠더정체성을 무시하고 성전환한 사람을 젠더의 이상적 표현에 기반해 분류한다. 객체화는 사회적 인정을 통해 자신의 젠더정체성을 확증하고 표현하고자 하는 개인에게 문제이자 솔루션이 된다{{Sfn|Sevelius|2013}}. 이상적 남성의 물리적 특성에는 근육이나 강건한 묘사가 들어가 있으며 트렌스젠더 남성은 과도한 운동과 스테로이드 주입을 통해 이 기준에 맞추려고 할 수 있다. 트렌스젠더 여성도 자신의 몸이 과섹슈얼화된 신체로 줄어드는 듯한 시스젠더 여성과 같은 객체화를 경험할 수 있다{{Sfn|Brewster|Velez|Breslow|Geiger|2019}}. 트렌스젠더 개인은 자신의 젠더 정체성 확증하기 위해 부작용 가능성이 높은 실리콘을 불법주입하거나, 성노동에 참여해 [[성전파 질환]] 위험이 높아진다{{Sfn|Sevelius|2013}}. 더 나아가, 외모(키나 몸구조)가 젠더적 이상과 불일치할수록 트렌스젠더 개인의 젠더정체성은 방해되고, 의학적 개입 이후에도 그들은 사회 기준에 맞지 않는다고 느낄 수 있다{{Sfn|Brewster|Velez|Breslow|Geiger|2019}}. 트렌스젠더 개인은 전형성을 확증하는 행위를 유발하기 위해 쓰이는 ‘트렌스젠더 창녀’와 같이 [[성적 대상화]]를 통해 고착된 부정적 전형성을 내면화할 수 있으며, 이는 낮은 자기만족감, 자기저평가, 무가치하다는 느낌, 더 나아가 [[자살]]과도 연결될 수 있다{{Sfn|Kosenko|2011}}.


== 다른 학문에서의 사용 ==
== 다른 학문에서의 사용 ==
53번째 줄: 52번째 줄:


== 참고문헌 ==
== 참고문헌 ==
* {{저널 인용|성=Baptista|이름=M.M.R.|성2=Himmel|이름2=R.I.P.d.|제목=‘For Fun’: (De) Humanizing Gisberta—The Violence of Binary Gender Social Representation|저널=Sexuality & Culture|권=20|쪽=639–656|해=2016|doi=10.1007/s12119-016-9350-5|언어고리=en|ref=CITEREFBaptistaHimmel2016}}
* {{저널 인용|성=Bell|이름=BT.|성2=Cassarly|이름2=JA.|성3=Dunbar|이름3=L.|해=2018|제목= Selfie-Objectification: Self-Objectification and Positive Feedback ("Likes") are Associated with Frequency of Posting Sexually Objectifying Self-Images on Social Media|저널=Body image|권=26|쪽=83–89|doi=10.1016/j.bodyim.2018.06.005|언어고리=en|ref=CITEREFBellCassarlyDunbar2018}}
* {{저널 인용|성= Brewster|이름=Melanie E.|성2=Velez|이름2=Brandon L.|성3=Breslow|이름3=Aaron S.|성4=Geiger|이름4=Elizabeth F|날짜=2019-03|제목=Unpacking body image concerns and disordered eating for transgender women: The roles of sexual objectification and minority stress|저널=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권=66|호=2|쪽=131–142|doi=10.1037/cou0000333|ISSN=1939-2168|PMID=30702325|S2CID=73413917|언어고리=en|ref=CITEREFBrewsterVelezBreslowGeiger2019}}
* {{저널 인용|성=Cohen|이름=Rachel|성2=Newton-John|이름2=Toby|성3=Slater|이름3=Amy|date=2018-02|title='Selfie'-objectification: The role of selfies in self-objectification and disordered eating in young women|url=https://linkinghub.elsevier.com/retrieve/pii/S0747563217306003|journal=Computers in Human Behavior|언어고리=en|volume=79|pages=68–74|doi=10.1016/j.chb.2017.10.027|ref=CITEREFCohenNewton-JohnSlater2018}}
* {{저널 인용|성=Cohen|이름=Rachel|성2=Newton-John|이름2=Toby|성3=Slater|이름3=Amy|date=2018-02|title='Selfie'-objectification: The role of selfies in self-objectification and disordered eating in young women|url=https://linkinghub.elsevier.com/retrieve/pii/S0747563217306003|journal=Computers in Human Behavior|언어고리=en|volume=79|pages=68–74|doi=10.1016/j.chb.2017.10.027|ref=CITEREFCohenNewton-JohnSlater2018}}
* {{저널 인용|성=Flores |이름=Mirella J.|성2=Watson|이름2=Laurel B.|성3=Allen|이름3=Luke R.|성4=Ford|이름4=Mudiwa|성5=Serpe|이름5=Christine R.|성6=Choo|이름6=Ping Ying|성7=Farrell|이름7=Michelle |날짜=2018-04|제목=Transgender people of color's experiences of sexual objectification: Locating sexual objectification within a matrix of domination|저널=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권=65|호=3|쪽=308–323|언어고리=en|doi=10.1037/cou0000279|ISSN=1939-2168 |PMID=29672081 |S2CID=5002128 |ref=CITEREFFloresWatsonAllenFord2018}}
* {{저널 인용|성=Flores |이름=Mirella J.|성2=Watson|이름2=Laurel B.|성3=Allen|이름3=Luke R.|성4=Ford|이름4=Mudiwa|성5=Serpe|이름5=Christine R.|성6=Choo|이름6=Ping Ying|성7=Farrell|이름7=Michelle |날짜=2018-04|제목=Transgender people of color's experiences of sexual objectification: Locating sexual objectification within a matrix of domination|저널=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권=65|호=3|쪽=308–323|언어고리=en|doi=10.1037/cou0000279|ISSN=1939-2168 |PMID=29672081 |S2CID=5002128 |ref=CITEREFFloresWatsonAllenFord2018}}
* {{저널 인용|성=Fredrickson|이름=BL.|성2=Roberts|이름2=T-A|연도=1997|제목=Objectification Theory: Toward Understanding Women’s Lived Experiences and Mental Health Risks|언어고리=en||저널=Psychology of Women Quarterly|권=21|호=2|쪽=173-206|doi=10.1111/j.1471-6402.1997.tb00108.x|ref=CITEREFFredricksonRoberts1997}}
* {{저널 인용|성=Fredrickson|이름=BL.|성2=Roberts|이름2=T-A|연도=1997|제목=Objectification Theory: Toward Understanding Women’s Lived Experiences and Mental Health Risks|언어고리=en||저널=Psychology of Women Quarterly|권=21|호=2|쪽=173-206|doi=10.1111/j.1471-6402.1997.tb00108.x|ref=CITEREFFredricksonRoberts1997}}
* {{저널 인용|성=Kosenko|이름=Kami A|날짜=2010-03-24|제목=Contextual Influences on Sexual Risk-Taking in the Transgender Community|저널=The Journal of Sex Research|권=48|호=2–3|쪽=285–296|doi=10.1080/00224491003721686|ISSN=0022-4499|PMID=20336575|S2CID=36872801|ref=CITEREFKosenko2011}}
* {{저널 인용|성=Lev|이름=Arlene Istar|날짜=2013-09|제목=Gender Dysphoria: Two Steps Forward, One Step Back|저널=Clinical Social Work Journal|권=41|호=3|쪽=288–296|doi=10.1007/s10615-013-0447-0 |언어고리=en| ISSN=0091-1674| S2CID=144556484| ref=CITEREFLev2013}}
* {{저널 인용 |성 = Nussbaum|이름 = Martha C.|title = Objectification|jstor = 2961930|journal = ''Philosophy & Public Affairs''|date = 1995|volume = 24|issue = 4|pages = 249–291|언어고리=en|doi = 10.1111/j.1088-4963.1995.tb00032.x|ref=CITEREFNussbaum1995}}
* {{저널 인용 |성 = Nussbaum|이름 = Martha C.|title = Objectification|jstor = 2961930|journal = ''Philosophy & Public Affairs''|date = 1995|volume = 24|issue = 4|pages = 249–291|언어고리=en|doi = 10.1111/j.1088-4963.1995.tb00032.x|ref=CITEREFNussbaum1995}}
* {{책 인용 |장=Feminist Perspectives on Objectification|성=Papadaki|이름= Evangelia L.|title=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Spring 2021 Edition)|편집자=Edward N. Zalta |날짜=2019-12-16 |언어고리=en |장고리=https://plato.stanford.edu/entries/feminism-objectification/|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210613144433/https://plato.stanford.edu/entries/feminism-objectification/|보존일자=2021-06-13|ref=CITEREFPapadaki2021}}
* {{책 인용 |장=Feminist Perspectives on Objectification|성=Papadaki|이름= Evangelia L.|title=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Spring 2021 Edition)|편집자=Edward N. Zalta |날짜=2019-12-16 |언어고리=en |장고리=https://plato.stanford.edu/entries/feminism-objectification/|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210613144433/https://plato.stanford.edu/entries/feminism-objectification/|보존일자=2021-06-13|ref=CITEREFPapadaki2021}}
* {{저널 인용|성=Papadaki|이름=Evangelia|날짜=2007-08-01|제목=Sexual Objectification|언어고리=en|저널=From Kant to Contemporary Feminism|권=6|호=3|쪽=49–68|doi=10.1057/palgrave.cpt.9300282|S2CID=144197352|REF=CITEREFPapadaki2007}}
* {{저널 인용|성=Papadaki|이름=Evangelia|날짜=2007-08-01|제목=Sexual Objectification|언어고리=en|저널=From Kant to Contemporary Feminism|권=6|호=3|쪽=49–68|doi=10.1057/palgrave.cpt.9300282|S2CID=144197352|REF=CITEREFPapadaki2007}}
* {{저널 인용|이름=Brian A.|성=Rood|이름2=Sari L.|성2=Reisner|이름3=Jae A.|성3=Puckett|이름4=Francisco I|성4=Surace|이름5=Ariel K.|성5=Berman|이름6=David W|성6=Pantalone|해=2017|제목=Internalized transphobia: Exploring perceptions of social messages in transgender and gender-nonconforming adults|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Transgenderism|권=18|호=4|쪽=411-426 |doi=10.1080/15532739.2017.1329048|ISSN=1553-2739|S2CID=148773063|언어고리=en|ref=CITEREFRoodReisnerPuckettSurace2017}}
* {{저널 인용|성=Sevelius|이름=Jae M|날짜=2012-09-30|제목=Gender Affirmation: A Framework for Conceptualizing Risk Behavior Among Transgender Women of Color|저널=Sex Roles|권=68|호=11–12|쪽=675–689|doi=10.1007/s11199-012-0216-5|ISSN=0360-0025|PMC= 3667985|PMID=23729971|언어고리=en|ref=CITEREFSevelius2013}}
* {{저널 인용|성=Strübel|이름=Jessica|성2=Sabik|이름2=Natalie J.|성3=Tylka|이름3=Tracy L.|날짜=2020-12-01|제목=Body image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transgender and cisgender adults: Examining a model integrating the tripartite influence model and objectification theory|저널=Body Image|권=35|쪽=53–62| doi=10.1016/j.bodyim.2020.08.004|ISSN=1740-1445|PMID=32846389|S2CID=221347929|언어고리=en|ref=CITEREFStrübelSabikTylka2020}}


{{번역중|Objectification}}
{{EWP|Object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