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트닝 토크: 두 판 사이의 차이

1,702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12월 17일 (토)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라이트닝 토크'''({{llang|en|Lightning talks}})는 [[컨퍼런스]]나 [[포럼]]등의 행사에서 10분 내의 짧은 시간에 진행되는 매우 짧은 프레젠테이션이다. 하나의 세션에 여러 다른 발제자들이 라이트닝 토크를 진행하는 것이 관행이다. 라이크닝 토크 유형 중 하나인 [[페챠쿠챠]]{{Sfn|Klentzin|Paladino|Johnston|Devine|2010}}나 [[이그나이트]]의 경우 시간과 프레젠테이션 장수를 임의로 조절하기도 한다. 라이트닝 토크는 또한 별도의 행사로 진행되기도 한다.
[[파일:Merli and Ivo Lightning talk WikiNEM.jpg|thumb|300px|위키미디어 행사에서 진행되는 라이트닝 토크]]
'''라이트닝 토크'''({{llang|en|Lightning talks}})는 [[컨퍼런스]]나 [[포럼]]등의 행사에서 10분 내의 짧은 시간에 진행되는 매우 짧은 프레젠테이션이다. 하나의 세션에 여러 다른 발제자들이 라이트닝 토크를 진행하는 것이 관행이다. 라이크닝 토크 관행에서 이후 [[페챠쿠챠]]{{Sfn|Klentzin|Paladino|Johnston|Devine|2010}}나 [[이그나이트]] 같은 파생 행사가 생겨나기도 했다. 라이트닝 토크는 또한 별도의 행사로 진행되기도 한다.


== 정의 및 유래 ==
== 정의 및 유래 ==
라이트닝 토크는 5분에서 10분 사이의 짧은 프레젠테이션으로서, 이벤트에서 다양한 주제를 많은 발표자가 논의할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많은 컨퍼런스에서 30분∼1시간 반 길이의 세션이 배분돼 진행된다. 세션 중 중단 없이 한 사람씩 발표가 이뤄진다.  
라이트닝 토크는 5분에서 10분 사이의 짧은 프레젠테이션으로서, 이벤트에서 다양한 주제를 많은 발표자가 논의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많은 컨퍼런스에서 30분∼1시간 반 길이의 세션이 배분돼 진행된다. 세션 중 중단 없이 한 사람씩 발표가 이뤄진다.  


발표 시간의 경우 프로그래밍 커뮤니티에서는 길이가 5분으로 제한되지만<ref name="perl04">{{웹 인용|사이트=Perl.com|성=Fowler|이름=Mark|언어고리=en|확인일자=2022-12-13|제목=Giving Lightning Talks|날짜=2004-06-30|url=https://www.perl.com/pub/2004/07/30/lightningtalk.html/}}</ref>, 7분 정도의 발표시간을 주는 곳도 찾아볼 수 있다<ref>{{웹 인용|제목=Lightning Talk Guidelines|url=https://loexconference.org/lightning-talk-guidelines/|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220521035039/https://loexconference.org/lightning-talk-guidelines/|보존날짜=2022-05-21|확인일자=2022-12-13|저자=LOEX}}</ref>.
라이트닝 토크의 방식은 행사마다 다양하다. 프로그래밍 커뮤니티에서는 길이가 5분으로 제한되지만<ref name="perl04">{{웹 인용|사이트=Perl.com|성=Fowler|이름=Mark|언어고리=en|확인일자=2022-12-13|제목=Giving Lightning Talks|날짜=2004-06-30|url=https://www.perl.com/pub/2004/07/30/lightningtalk.html/}}</ref>, 7분 정도의 발표시간을 주는 곳도 찾아볼 수 있다<ref name="bos13" /><ref>{{웹 인용|제목=Lightning Talk Guidelines|url=https://loexconference.org/lightning-talk-guidelines/|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220521035039/https://loexconference.org/lightning-talk-guidelines/|보존날짜=2022-05-21|확인일자=2022-12-13|저자=LOEX}}</ref>. 또한 프레젠테이션 파일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곳도 있으며, 기본적으로 프레젠테이션 파일을 읽지 않을 것이 권장된다<ref name="perl04" />.


처음 라이트닝 토크가 진행된 것은 1997년 [[파이선 컨퍼런스]]였던 것으로 보인다. 현재의 이름은 마크 제이슨 도미누스가 2000년 6월 [[피츠버그]] [[카네기멜론대학교]]에서 개최된 펄 언어 컨퍼런스인 ‘[[YAPC 컨퍼런스|YAPC]]::19100’에서 떠올린 것이다.
처음 라이트닝 토크가 진행된 것은 1997년 [[파이선 컨퍼런스]]였던 것으로 보인다. 현재의 이름은 마크 제이슨 도미누스가 2000년 6월 [[피츠버그]] [[카네기멜론대학교]]에서 개최된 펄 언어 컨퍼런스인 ‘[[YAPC 컨퍼런스|YAPC]]::19100’에서 떠올린 것이다<ref name="for04">{{뉴스 인용|제목=The End Of Boring Presentations|날짜=2010-01-14|이름=Scott|성=Berkun|뉴스=[[포브스]]|url=https://www.forbes.com/2010/01/14/presentations-pecha-kucha-technology-breakthroughs-oreilly.html||확인일자=2022-12-13}}</ref>. 이외에도 데이터 블리츠(Data blitz)라는 단어가 쓰이기도 한다<ref>{{cite web|title=SPSP 2012 Data Blitz |url=http://spspmeeting.org/2013/Sessions/Data-Blitz.aspx |work=SPSP 2012 Conference |publisher=The Society for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확인일자=2012-12-29 |url-status=dead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20916015953/http://spspmeeting.org/2013/Sessions/Data-Blitz.aspx |보존날짜=2012-09-16 }}</ref>.
<!--TThe conferences are held in order for individuals to be able to share their ideas and concepts to people who have experience in the specific field.[5] Lightning talks are brief which requires the speaker to make their point clearly and rid the presentation of non-critical information. This causes the audience to be more attentive to the speaker and gain a broader array of knowledge from the presentations given.[6] -->


== 특색 및 한계 ==
== 특색 및 한계 ==
그러나 라이트닝 토크는 파워포인트 슬라이드 작성 능력이 필요하고 짧은 시간 아래 핵심을 전달해야 하기 때문에<ref name="perl04" /> 일부 발표자들은 제한된 시간과 타이밍 등에서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Sfn|Klentzin|Paladino|Johnston|Devine|2010|p=165}}.
라이트닝 토크가 생겨난 컨퍼런스 환경은 개인이 특정 분야에 경험을 가진 사람들에게 자신의 생각과 개념을 전달하는 것이 목적이며<ref name="bos13">{{웹 인용|제목=Why you should give a Lightning Talk|날짜=2013-06-30|이름= Joe|성=Corkery|url=https://businessofsoftware.org/2013/07/why-you-should-give-a-lightning-talk-2/|출판사=Business of Software|확인일자=2022-12-13}}</ref>, 따라서 발표자가 중요하지 않은 정보를 발표에서 제외하고 정제된 방식으로 명확한 주장을 하도록 촉진할 필요가 있었다<ref name="for04" />. 또한 기존의 발표는 시간이 길었기 때문에 발표의 실패에 따른 리스크가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라이트닝 토크는 청중들이 발표에 더욱 집중하여 주어진 발표로부터 넓은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ref>{{웹 인용|url=https://perl.plover.com/lt/lightning-talks.html|제목=Lightning Talks|출판사=The Universe of Discourse|확인일자=2022-12-13}}</ref>. 그러나 라이트닝 토크는 파워포인트 슬라이드 작성 능력이 필요하고 짧은 시간 아래 핵심을 전달해야 하기 때문에<ref name="perl04" /> 일부 발표자들은 제한된 시간과 타이밍 등에서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Sfn|Klentzin|Paladino|Johnston|Devine|2010|p=165}}.


== 주 ==
== 주 ==
16번째 줄: 16번째 줄:


== 참고문헌 ==
== 참고문헌 ==
* {{저널 인용|언어고리=en|성1=Klentzin|이름1=JC et al.|저널=Reference Services Review|권=38|호=1|쪽=158-167|출판사=에메랄드 그룹 퍼블리싱|제목=Pecha Kucha: using “lightning talk” in university instruction|doi=10.1108/00907321011020798|ref=CITEREFKlentzinPaladinoJohnstonDevine2010}}
* {{저널 인용|성1=Klentzin|이름1=JC et al.|연도=2010|저널=Reference Services Review|권=38|호=1|쪽=158-167|출판사=에메랄드 그룹 퍼블리싱|제목=Pecha Kucha: using “lightning talk” in university instruction|doi=10.1108/00907321011020798|ref=CITEREFKlentzinPaladinoJohnstonDevine2010}}


{{번역중|Lightning talk}}
{{EWP|Lightning tal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