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카/위키백과: 두 판 사이의 차이

49 바이트 추가됨 ,  2016년 9월 8일 (목)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 (→‎음순)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4번째 줄: 14번째 줄:
모음:a, i, o, e, u
모음:a, i, o, e, u


x는 sh(시)이며, c는 떨리는 r(~ㄹ)이다. 이를 제외한 나머지 음가는 y는 'ㅑ', w는 'ㅘ'처럼 일반적 알파벳 음가와 동일하다.  
x는 sh([])이며, c는 떨리는 r(~ㄹ)이다. 이를 제외한 나머지 음가는 y는 'ㅑ', w는 'ㅘ'처럼 일반적 알파벳 음가와 동일하다.  


=== 모음 ===
=== 모음 ===
a, i, o, e, u, q의 여섯개의 모음이 있는데, [[슈와]](ㅓ)음의 q는 음색에 별로 드러나지 않는 편이다.
a, i, o, e, u, q의 여섯개의 모음이 있는데, [[슈와]](ㅓ)음의 q는 음색에 별로 드러나지 않고, [[오노마토페]][[감탄사]]('''hqm''' /həm/ '에-'), 자음이 연속되어 읽기 힘든 경우 ('''tikn''' /tikən/ ), 자음으로 끝나는 단어의 어미('''arbazard''' /aɹbazaɹdə/ '아르바자드')등에서만 나타난다.
 
[[オノマトペ]][[感嘆詞]](hqm /həm/ へぇ)や、子音連続で読みにくい場合(tikn /tikən/ )、子音で終わる語の末尾(arbazard /aɹbazaɹdə/ アルバザード)などに表れやすい。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width:3.5em"|
!style="width:3.5em"|
!style="width:3.5em"|[[前舌母音|前舌]]
!style="width:3.5em"|[[전설 모음|전설]]
!style="width:3.5em"|[[中舌母音|中舌]]
!style="width:3.5em"|[[중설 모음|중설]]
!style="width:3.5em"|[[後舌母音|後舌]]
!style="width:3.5em"|[[후설 모음|후설]]
|-
|-
!
!
![[非円唇母音|非円唇]]
! colspan="2" | [[비원순모음|비원순]]
![[非円唇母音|非円唇]]
![[원순모음|원순]]
![[円唇母音|円唇]]
|-
|-
![[狭母音|狭]]
![[狭母音|狭]]
40번째 줄: 37번째 줄:
|-
|-
!<!--(中段)-->
!<!--(中段)-->
| || q /[[シュワー|ə]]/ ||
| || q /[[슈와|ə]]/ ||
|-
|-
![[半広母音|半広]]
![[半広母音|半広]]
49번째 줄: 46번째 줄:
|}
|}


=== 子音 ===
=== 자음 ===
アルカにおいて発生しうる子音の[[音声]]は27音、弁別性のある[[音素]]は20文字にts/[[無声歯茎破擦音|ʦ]]/, tx/[[無声後部歯茎破擦音|ʧ]]/を加えた22音存在する。
아르카에서 발생하는 자음의 소리 수는 27음, 이 중 변별성이 있는 [[음소]]는 20문자와 함께, 결합문자인 '''ts''' /[[무성치경파찰음|ʦ]]/, '''tx''' /[[무성후부치경파찰음|ʧ]]/을 더하면 22개의 음이 있다.


nは直後の子音が[p],[b]のときは[m]、[t],[d]のときは[n]、[k],[g]のときは[ŋ]、[s], [z], [l], [r], [ɾ], [ɹ]のときは[N]になる。
nは直後の子音が[p],[b]のときは[m]、[t],[d]のときは[n]、[k],[g]のときは[ŋ]、[s], [z], [l], [r], [ɾ], [ɹ]のときは[N]になる。